| 분야 | 생활·민속/생활 |
|---|---|
| 유형 | 물품·도구/물품·도구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 성격 | 농기구 |
|---|---|
| 재질 | 목재|철재 |
| 용도 | 긁어모으기 |
| 생산|제작처 | 중국 길림성 |
동북3성 지역에서 마른 풀잎이나 나뭇잎, 검불 등을 긁어모으는 데 사용하는 연장.
깍쟁이는 갈퀴의 방언이다. 길림성(吉林省)의 깍쟁이는 굵은 철사의 끝을 직각이 되게 구부려 만든 것으로 어느 농가에서나 구비할 정도로 필수 연장이다. 농사일은 물론 나무를 하러 갈 때에도 갈퀴는 필수 도구로, 나뭇잎이나 마른 풀잎을 모아 불쏘시개 용도로 사용한다. 과거에는 깍쟁이를 농가에서 직접 만들어 사용하였으나 지금은 시장 등에서 구입한다.
깍쟁이는 주변에서 자라는 대나무나 싸리나무를 불로 구부려 제작하였다. 그러나 굵은 철사로 만든 깍쟁이가 시장에 등장하면서 농민들은 자체 생산보다는 구입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길림성의 한인은 물론 한족들도 마찬가지여서 두 민족 사이의 갈퀴의 차이점은 보이지 않는다.
깍쟁이는 긴 자루 끝에 10여 개의 대쪽이나 철사, 싸리 등의 끝을 구부려서 갈고리처럼 휘어지게 하고, 그 끝과 앞을 부채살 모양으로 가지런하게 펴고 그 중간을 가로댄 나무에 얽어매어 고정시킨다. 통상 손잡이 길이는 135㎝이고, 날 너비는 33㎝, 날 길이는 40㎝ 정도이다. 갈고리처럼 휘어진 부분을 ‘깍쟁이발’이라고 부른다.
노동으로 인해 굽은 손을 ‘갈퀴손’이라고 한다. 갈퀴손은 고생의 상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