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야 | 생활·민속/생활 |
|---|---|
| 유형 | 물품·도구/물품·도구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 성격 | 농기구 |
|---|---|
| 재질 | 목재|석재 |
| 용도 | 탈곡 |
동북3성 지역에서 벼의 알갱이를 터는 데 사용하는 농기구.
군제는 연암(燕岩)박지원(朴趾源)[1737~1805]이 쓴 『과농소초(課農小抄)』에 소개되어 있다. 군제는 중국 농기구로 한자로 육독(磟碡), 역택(礰礋)이라고 부르는데, 흙을 다지는 데 사용하는 연장이다. 북방 지역은 농토가 건조하여 습기 보호를 중시하는데, 파종을 한 후 군제로 흙을 다져주면 수분이 보호된다. 군제는 도로 공사나 터를 다지는 데 사용하기도 하며, 마당에서 곡식을 털 때도 사용하는데, 도리깨로 터는 것보다 그 효과가 뛰어나다. 군제는 다용도로 사용하는 도구인 셈이다. 군제는 민가의 마당에서 흔히 볼 수 있을 정도로 사용이 빈번하다.
군제는 본래 밭의 수분 증발 방지를 위해 땅을 눌러주는 데 사용한 도구였으나, 이것을 가지고 벼를 탈곡하는 데에도 이용하였다. 논에서 거둬들인 볏짚을 너른 마당에 얇게 편 다음, 이것을 소 멍에에 걸어 빙빙 돌아가며 끈다. 그러면 벼의 알갱이가 잘 떨어진다. 본래는 한족들이 사용한 것을 한인들이 따라서 사용한 것이다.
돌을 넓고 둥글게 깎고 양쪽 가운데에 쇠를 박아 나무틀을 고정시켰다. 『농정전서(農政全書)』에는 역택(礰礋)에 대하여, “길이는 주척(周尺)으로 3척(尺)이고 지름은 2척(尺)이며 짧은 말뚝을 굴대의 양쪽에 깎아 박고 팔뚝만한 나무로 네모틀을 짜서 씌웠으며 굴대통에 말뚝을 박아 고정시켰다. 그리고 앞쪽의 방개 비슷한 나무에 소나 나귀를 메어 끌게 하면 돌이 바퀴처럼 굴러가는데 이를 혼축(混軸)이라고 한다. 이것은 밭에서뿐만 아니라 마당질에 굴려서 곡식을 털며 도리깨보다 훨씬 효과가 좋다. 이를 도로 공사에 쓰면 흙칼질을 한 듯이 반듯하며, 또 땅을 파서 터를 닦으면 거울판처럼 매끈하게 된다.”라고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군제는 우리나라의 돌태와 같은 것으로 오늘날에도 도로나 운동장을 다지거나 염전 바닥을 다질 때 사용한다. 다만 크기에 따라 활용하는 곳의 용도가 다양하다. 군제의 돌은 한족 젊은이들이 힘자랑을 할 때 우리나라 들돌처럼 이용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