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將棋 |
|---|---|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 유형 | 놀이/놀이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유하현 강가점향 경기촌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중국 동북3성 지역 한인들이 자기 말을 움직여 상대 말을 잡으며 마지막에 상대편 궁을 잡으면 이기는 놀이.
장기는 장기판에서 초(楚)와 한(漢)나라의 두 편으로 말을 움직여 상대 말을 차례로 격파해 나간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대방의 궁(宮, 왕)을 잡으면 이기는 놀이로 두뇌를 이용한 승부놀이 형태이다. 놀이가 단순하고, 배우기 쉽기 때문에 보통 성인 남성들이 널리 즐겼던 놀이이다. 계절에 관계없이 어느 시기에나 즐길 수 있는 비세시놀이라 할 수 있다.
장기의 유래는 중국의 주(周)나라 및 당(唐)나라 유래설, 3000년 전 인도 유래설 등이 있다. 중국에서는 오랜 역사를 지닌 장기놀이를 ‘상희(象戱)’라고 불렀다. 우리나라에 유입된 시기는 정확하지 않으나, 대략 고려 시대에 송(宋)나라로부터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장기에 대한 일화는 많다. 15세기에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의 편찬자인 학자 노사신(盧思愼)은 장기를 너무 즐겨서 신분을 막론하고 누구나와 장기를 두었는데, 특히 ‘차(車)’가 죽었을 때에는 언제나 물려 달라고 애걸복걸하였다는 일화가 전한다. 조선세종(世宗) 때에는 장기와 바둑을 통틀어 ‘박혁(博奕)’이라 불렀다. 조선 후기의 풍속화가인 김홍도(金弘道)는 부친상을 당하고도 장기, 각저, 바둑에 몰입하여 조정에서 문제가 된 적도 있었다. 그리고 『어우야담(於于野談)』에 보면, 왕족인 서천령이 장기를 좋아하며 스스로 최고수라고 뽐내다가, 평범한 촌로에게 참패해 망신을 당했다는 일화도 있다. 그 외에 다양한 문헌에 장기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장기는 초(楚)와 한(漢)으로 나뉘며 각각 16개의 말로 이루어져 있는데, 궁 1개, 사(士) 2개, 차(車) 2개, 포(包) 2개, 마(馬) 2개, 상(象) 2개, 졸(卒) 5개로 되어 있다. 장기판은 가로 9줄, 세로 10줄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에 2줄을 사이에 두고 양쪽 진영에 16개의 말들을 동일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시작한다. 장기를 두는 장소도 제한이 없는데, 대체로 겨울에는 실내에서, 여름에는 시원한 야외에서 즐긴다.
상대의 말을 하나씩 제거하여 궁을 호위할 능력을 약화시켜 나간다. 만약 궁을 잡을 기회가 되면, ‘장군’이라 외쳐서 상대에게 궁이 피하거나 다른 말로 호위할 기회를 준다. 이때 상대방은 궁을 피하거나 다른 말로 막으면서 ‘멍군’이라고 외친다. 그러나 궁이 피할 방법이 없으면 항복을 하고, 승부가 끝나게 된다.
‘궁’은 왕으로서 제한된 공간에서 한 칸씩만 이동하며, ‘사’는 궁과 같은 공간에서 한 칸씩 움직이면서 궁을 호위한다. 다른 말은 움직임에 일정한 제약이 있는데, ‘차’는 전후좌우 직선으로, ‘포’는 포 이외에 다른 하나의 말을 건너뛴다. 또한 ‘마’는 직선 1칸과 대각선 1칸, ‘상’은 직선 1칸과 대각선 2칸, ‘졸’은 전진(후진 불가)과 좌우로 1칸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 점에서 ‘차’가 가장 활동 공간이 크고 자유로우며, ‘포’는 원거리 공격에 용이하지만 다른 포나 두 개 이상의 말을 건너뛰지 못하며, 건너뛸 대상이 없으면 이동할 수 없다. ‘상’이나 ‘마’는 제한적이지만 상대의 눈을 속여 잡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장기는 장기판과 말만 있으면 실내외 어느 곳이든지 즐길 수 있는 대중적인 놀이라 할 수 있다. 비록 중국에서 수입되었지만, 일반인이 쉽게 배울 수 있으며, 다양한 말들이 각각 다른 이동 방식을 통해 상대의 왕을 공격하는 것으로 승부가 나는 박진감 있는 놀이이다.
옛말에 ‘장기 훈수는 뺨을 맞아가며 한다’는 말이 있다. 그럴 정도로 장기는 두는 당사자 뿐 아니라 주위에서 지켜보는 흥미 또한 크다. 실제로 옆에서 보면 더 잘 보이는 경우가 많아서 주위 사람들이 훈수를 하기도 한다. 그만큼 장기는 널리 일반화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일대일로 두던 장기가 나중에는 동네 장기가 되는 경우도 있으며, 훈수를 두다가 시비가 붙는 경우도 허다하다. 따라서 장기나 바둑은 두는 사람의 성격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장기는 민간에서 널리 행해지는 놀이이며, 예전에 비해 약화되었지만 아직까지 나이 든 남성을 중심으로 놀이가 전승되고 있다. 이런 양상은 중국 연변 지역 한인들의 놀이문화에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이주 한인들의 민속놀이를 정리한 박경휘의 의『조선족 민속사 연구』를 보면, 장기를 놀이의 분류에서 겨루기놀이에 포함시키고 있다. 한편 길림성 유하현 강가점향 경기촌에서는 1953-1982년 집체 중심의 사회주의 집단노동의 시기에 향이나 현 단위의 운동 대회가 3∼5년 단위로 열렸다. 이때 장기를 비롯해 씨름, 그네뛰기, 널뛰기, 달리기, 화투 대회가 열렸으며, 주로 소수 민족 운동 대회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한인[조선족] 사회에서 장기 민속놀이가 경기 대회 형식으로 치러지고 있다. 이는 전래 놀이문화의 전승과 나아가 한인[조선족]들의 화합과 단결을 도모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또한 한국에서도 2011년부터 '조선족 장기대회'가 열려 이주 한인[조선족]과 한국인의 민족 동질성 강화와 우호 증진을 꾀하고 있다. 2009년 제1회 '동북 3성 조선족 장기대회'가 개최된 이후로 해마다 성황리에 열리고 있다. 같은 해에는 하얼빈[哈爾濱]에서 안중근 의사 100주년 기념 세계인 장기대회도 개최되었다. 한국 유명 프로기사들도 대거 출전했지만, 우승부터 3위까지 한인[조선족]들이 차지하여 실력을 입증해 보였다.
'동북 3성 조선족 장기대회'는 연변조선족자치주 체육 총회와 사단 법인 연변 조선족 장기 협회에서 주최하고 연길(延吉) 해외 귀국자 창업 협회에서 후원하여 치러진다. 특히 2012년 '동북 3성 조선족 장기대회'는 10월 27일과 28일 이틀간 연길에서 열렸다.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창립 60돌과 중화인민공화국 창건 63주년을 맞아 펼쳐진 이번 대회에는 흑룡강성(黑龍江省) 조선족 장기 협회와 요령성(遼寧省) 조선족 장기 협회, 연변조선족자치주의 각 현과 시에서 온 9개 대표팀의 선수 47명이 참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