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國師堂 |
|---|---|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 유형 | 의례/제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 성격 | 민간 신앙 |
|---|---|
| 의례시기/일시 | 수시|정월 보름 등 명절 |
| 신당/신체 | 나무|돌무더기 |
| 시작 시기/일시 | 1920년~1940년대 |
| 중단 시기/일시 | 해방 이후 |
| 의례 장소 | 길림성 혼춘현 회룡봉 사간방 |
| 길림성 혼춘현 회룡봉 진찬 | |
| 길림성 혼춘현 회룡봉 벌등 | |
| 길림성 용정시 지신진 용남촌 |
길림성 지역 한인 마을에서 나무에 삼색 천을 걸고 돌무더기를 쌓아 만든 민간 신앙물.
‘국사당’이라고도 하며 ‘서낭당’이라고도 한다. 한반도에서도 흔히 보이는 형태로서 마을 초입이나 언덕 길가에 신목을 정해 그 아래 돌무더기를 쌓고 붉은색, 파란색, 노란색 등 삼색 천을 걸어 놓았다. 아기가 없거나 탈이 나면 천을 바치고 빌기도 하며 정월 보름 같은 명절에 밥을 지어 올리며 빌기도 한다.
연변(延邊) 일대에서 모시는 국사당은 마을 안이나 근처 고목에 여러 가지 천 조각을 걸어 놓은 형태가 있으며 산 언덕이나 고개 길가에 작은 사당을 짓고 그 안에 둥근 돌을 쌓아 ‘국사신지위(國師神之位)’라고 쓴 위패를 세워 놓은 형태도 있다.
간단하게 치성을 드릴 때는 천을 사서 바치거나 밥을 지어 올린다. 밥을 지어서 국사당 아래 바치고는 절을 세 번 한다. 젓가락으로 밥을 세 번 떠서 근처에 뿌린다. 마지막으로 하직 인사를 한 후 귀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