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生日 祭祀 |
|---|---|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 유형 | 의례/제 |
| 지역 | 길림성 요령성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 성격 | 의례 |
|---|---|
| 의례시기/일시 | 망자의 탄생일 |
중국 동북3성의 한인들이 조상의 생일에 지내는 제사.
『주자가례(朱子家禮)』에 기술된 제례에는 없는 제사로 망자의 생일에 지내는 제사이다. 조선 시대 사대부가에서 행해지던 생일 제사는 제사 대상을 부모로 한정하고 생일을 맞이한 당사자의 신위만 모시며, 첫닭이 울 때 가까운 부계 친족들만 모여 무축단헌(無祝單獻)을 원칙으로 간단하게 지냈다. 과거 조선 시대 분재기에서 생일 제사는 ‘생진절 차례’ 또는 ‘초도 제사’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한국에서는 강원도나 해안 지방에서 일부 행해지고 있는데, 격식이나 절차는 지역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다. 중국에서도 한인이 거주하는 길림성(吉林省), 요령성(遼寧省), 흑룡강성(黑龍江省) 등 동북 3성 지역을 중심으로 생일 제사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주로 상례와 결합된 형태로 많이 나타난다.
생일 제사의 연원은 체계적인 의례서에서 보이는 명칭은 아니다. 여중철에 의하면, 생일 제사를 상례에 보이는 의례의 연장으로 파악하고 있다. 즉 상복을 입은 동안 망자의 생일에 아침 조반을 올린 것이 탈상 후 연장된 것으로 보고 있다. 김경숙의 경우 생일 제사를 ‘생휘일제’, ‘생기일제’라고 불렀으며 고려(高麗) 이래로 전해져 내려오는 한국 고유의 제사 형태로 파악하고 있다.
조선 시대 후기로 갈수록 점차 생일 제사가 쇠퇴해 갔으며, 현대에 생일 제사의 형태는 더욱 축소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중국 이주 한인의 경우에도 생일 제사가 있으며 1960년대 이전의 일반적인 풍속은 사망자의 생일에 집안에서 아침이나 저녁에 한 번 지냈다. 상례 과정 동안 대상을 마치기 전에 지내는 생일 제사는 상복을 입고 지내며 제사 지내는 방법은 소상 제사와 유사하였다. 대신 축은 읽지 않는다. 최근까지 생일 제사 풍속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한인의 생일 제사는 절차상 소상 제사나 기제사에 준하여 이루어지지만 제수나 방식에 있어서는 간소화된 형태를 따른다.
최근 한인[조선족] 민속 조사에서도 생일 제사가 보고되고 있다. 장례를 치를 때 지역과 집안에 따라서 생일 제사를 지내는 횟수나 시간 등 편차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길림성 사례를 보면, 사망한 이듬해까지 지내는 집안도 있고, 3년 동안 생일 전날 저녁 무렵에 한 번 지내고 낮에 한 번 지내는 집안도 있으며, 환갑을 지내고 사망한 경우 3년 동안 생일 제사를 지내고 환갑 전에 사망한 경우 환갑 전에 이미 생일 제사를 세 번 지낸 경우라 할지라도 환갑년에 생일 제사를 지내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요령성 사례의 경우, 장례를 마친 뒤 생일 제사를 한 번만 지내는 집안도 있고, 또 다른 집안은 생일 전에 사망하였으면 돌아오는 생일날에 제사를 지내고 생일 후에 사망하였으면 이듬해 생일날에 제사를 지냈다. 흑룡강성 사례를 보면, 3년 제사를 지낼 때까지 생일 제사를 생일 전날 저녁 무렵 한 번 지내는 경우도 있었고, 생일 제사를 지내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전반적으로 문화 혁명 시기 봉건 전통에 대한 비판이 거세진 이후 생일 제사 풍속도 집안에 따라 많이 줄어들어서 1990년대 조사 시점에 삼 년 동안 생일 제사를 지내는 집도 있지만 지내지 않고 지나가는 경우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