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토제

한자 后土祭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길림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신당/신체 지신
정의

길림성 지역으로 이주한 한인이 토지 신(神)인 후토에게 지내는 제사.

개설

상례 및 제례와 관련해서 토지를 관장하는 신에게 시신을 매장하고 묘소를 조성한 후에 후토제를 지내며, 다른 경우에는 묘제(墓祭)를 지내기 전에 그 묘소의 토지신에게 고하는 후토제를 지낸다. 길림성(吉林省) 지역 한인에 의하면, 후토는 곧 지신(地神)으로 새로운 귀신이 들어와서 지신이 동요할 것을 염려해 이를 보고하고 안심시키는 뜻이라고 하여 후토제를 ‘안신제(安神祭)’라고도 한다. 이를 우리말로 ‘앉은 제사’라고 하는데 동요를 막고 가라앉히는 제사라는 뜻이다.

연원 및 변천

『주자가례(朱子家禮)』에 의하면 시신을 매장한 후에 “묘소의 왼쪽에서 후토신에게 제사를 지낸다[祠后土於墓左]”고 서술되어 있다. 그렇게 후토제를 지내는 이유를 가례에서는 부모의 형체가 그곳에 있기 때문에 신에게 예를 드려 편안하게 하기 위함이라고 주석을 달고 있다. 또한, 『주자가례』에는 묘소에서 제사를 모시기 전에 마찬가지로 무덤 왼쪽에서 후토신에게 제사를 지낸다고 언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 민간에서 후토제를 ‘산신제(山神祭)’로 일컫는 경우가 많다. 중국 한인 상례 및 제례 풍습에서도 후토제가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되는데 ‘안신제’ 또는 ‘앉은 제사’라고 불린다. 대개 장례시 후토제를 지낼 때는 축을 고하지만 묘제를 할 때는 축을 고하지 않는다.

절차

길림성 지역 한인들은 장례 때 매장을 끝내고 후토제를 지낸다. 지역이나 가정에 따라 안신제는 장례 당일 매장이 끝나고 그 자리에서 지내기도 하고 삼우 때 산소에 가서 지내기도 한다. 이때에는 다른 음식은 장만하지 않고 기름에 데친 떡만 제수로 쓴다. 떡을 세 겹씩 세 층을 쌓아놓고 한 번 절하고 술을 올리고 나서 세 겹의 떡을 벗겨 낸다. 그리고 콩기름을 태운다. 이것을 세 번 반복한다.

연길시(延吉市) 사례에 따르면 최근에는 산불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름을 태울 수 없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미리 기름에 볶은 떡을 가지고 간다. 또한, 일반적으로 청명절에 묘소를 보수한 후에 먼저 후토제를 지내고, 조상에게 제사를 지낸다. 단오절이나 중추절에도 후토제를 지내고 묘제를 지낸다. 제사 절차는 위와 유사하다.

현황

중국에서 화장이 장려되기 전 시신을 매장하는 경우 후토제는 의례 절차로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점차 사후에 화장이 늘어나면서 화장한 유골을 매장하는 경우 부분적으로 후토제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유골을 자연에 뿌리는 경우에는 후토제를 지내지 않게 되었다. 그런 이유로 묘제의 공간인 산소가 조성되어 있지 않는 경우 묘제 시 후토제 의식도 줄어들고 있다.

참고문헌
  • 『주자가례(朱子家禮)』
  • 『중국 길림성 한인 동포의 생활문화』(국립 민속 박물관, 1996)
  • 천수산, 『중국 조선족 풍속』(북경 민족 출판사, 2008)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