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신앙

한자 家庭 信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0년대~1950년대
정의

일제강점기 길림성연변 지역 이주 한인 가정에서 가족의 건강과 안녕을 위해 집안에 신 또는 신체를 모시고 기원하는 민간 신앙.

개설

연변 지역의 가정 신앙에 대한 조사 자료가 풍부하지 않아 자세한 정황을 파악하기는 힘드나 이주 초기 집집마다 신앙의 대상을 모셔두고 의례 행위를 하는 것은 매우 보편적인 현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신앙의 대상으로는 성주, 조상, 삼신, 칠성, 조왕 등 한민족의 그것과 맥을 같이하는 신격부터 산듕이라 부르는 생소한 신격까지 다양하다. 신격이 모셔지는 집 안의 구역이나 기능 또한 한국의 예와 같아 대부분의 신격이 이주와 함께 옮겨 모셔졌음을 가늠하게 한다.

가정 신앙 사례

연변 지역에서는 선반 위에 단지를 올리고 조상신으로 모셨다. 단지 안에는 새로 지은 옷감의 일부를 잘라 넣기도 하고 조상의 지방을 써서 넣어 두기도 한다. 집안에 우환이 있으면 음식을 장만하여 제사를 지냈고, 새 며느리처럼 식구가 새로 들어오면 조상단지에 절을 하여 예를 갖추었다. 연길시 인근의 한인들도 매년 날을 택하여 조상단지에 고사를 올렸는데, ‘제석단지’, ‘원기단지’, ‘개미독’이라는 별칭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혼춘현 회룡봉에서는 부엌에 조왕을 모시고 좋은 음식이 생기거나 좋은 물건이 들어오면 조왕에 먼저 고했다. 음력 시월 초하루가 되면 ‘낟가리 제사’를 올렸다. 떡을 큼직하게 만든 다음 젓가락에 꿰어 낟가리에 올려놓는데, 내년에도 풍년이 들게 해 달라는 의미의 의례이다. 의례가 끝난 후 식구들이 모여 떡을 음복한다.

회룡봉의 ‘산듕’은 한국의 터주 신앙과 유사한 형태로 집 뒤 후미진 곳을 정해두고 한 달에 한 번 씩 술을 바치며 가정의 안녕을 기원한다.

현재의 가정 신앙

이주 한인의 가정 신앙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지속적으로 약화되어왔다. 특히 도시화로 인한 주거 환경의 변화는 이러한 변화를 가속화하였다.

참고문헌
  • 국립 민속 박물관,『중국 길림성 한인 동포의 생활문화』(국립 민속 박물관, 1996)
  • 곽충구 외, 『중국 이주 한민족의 언어와 생활: 길림성 회룡봉』(태학사, 2008)
  • 천수산, 『중국 조선족 풍속』(민족 출판사, 2008)
  • 천수산,「중국 조선족의 민간 신앙에 대한 개관」(『재외 한인 연구』2, 재외 한인 학회, 1992)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