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자구진

한자 羅子溝鎮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 나자구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83년
변천 시기/일시 1949년
변천 시기/일시 1958년
변천 시기/일시 1983년
성격 행정 지명
면적 1,399㎢
인구[남/여] 24,500명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에 속하는 향진급 지방 행정 구역.

개설

나자구진왕청현 동부북에 위치하고 있다. 총면적은 1,399㎢이고 인구는 24,500명으로 1개 지역 사회와 21개 행정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조선족 마을로는 서하촌(西河村)과 신둔자촌(新屯子村)이 있다. 서하촌은 1937년 마을이 세워졌고 삼도하자 서쪽에 위치하였다 하여 서하촌이라고 한다. 서하촌에는 조선족이 386명인데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한다. 신둔자촌은 1936년에 마을이 세워졌다. 신둔자촌의 조선족은 1,130명으로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명칭 유래

본래 수분대전자(綏芬大甸子)로 불렸다가 이후에 나자구진으로 개명하였다.

형성 및 변천

1949년 나자구구(羅子溝區)가 설립됐고, 1958년 나자구공사(羅子溝公社)로 변경되었다. 1983년 나자구향(羅子溝鄕)으로 변경되었다가 같은 해 나자구진으로 개칭되었다. 1997년에는 총면적이 1,490㎢이고 인구는 25,000명이었다. 진정부가 소재하고 있는 나자구(羅子溝)를 비롯하여 삼도하자(三道河子)·고성(古城)·서하(西河)·태평구(太平沟) 등 23개 행정 마을로 구성되었다. 2003년에 향양촌과 요구자촌이 나자구촌에 합병되어 현재는 21개 행정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환경

나자구진왕청현 중심과 100㎞ 떨어져 있고, 동경 130°02′~130°31′, 북위 43°23′~44°03′ 사이에 위치해 있다. 동쪽으로 흑룡강성 동녕현, 북쪽으로 흑룡강성 목림현, 서쪽으로 천교령진계관향, 남쪽으로는 북흥진과 인접해 있다. 나자구진은 산간지대에 속하고 온대 대륙성 기후로 사계절이 분명하다. 연평균 기온은 3.8℃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580㎜, 무상일수는 115일 정도이다.

현황

2009년 당시 나자구진의 경작지 면적은 15,000㏊로 왕청현에서 가장 넓은 땅이었다. 나자구진백두산 식물권역에 속하여 산림이 무성하고 종류가 다양하며 야생 식물 자원이 매우 풍부하다. 인삼, 고사리, 목이버섯, 두릅, 잣, 머루 등의 야생 식물들이 자란다. 토양이 비옥하여 각종 농작물의 성장에도 유리하며, 광산 자원과 수력 자원 또한 풍부하다.

참고문헌
  • 심혜숙·정매화, 『연변조선족마을과 건설모식』(연변대학출판사, 2009)
  • 『연변조선족자치주 개황』(연변조선족 개황 집필팀, 2009)
  • 『汪淸县志』(왕청현 지방지편찬위원회팀, 2002)
  • 왕청현 나자구진 행정구획(http://www.xzqh.org/html/show/jl/24582.html)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