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교령진

한자 天橋嶺鎮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 천교령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64년
변천 시기/일시 1933년
변천 시기/일시 1938년
변천 시기/일시 1954년
변천 시기/일시 1958년
성격 행정 지명
면적 1,354.9㎢
인구[남/여] 35,400명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에 속하는 향진급 지방 행정 구역.

개설

천교령진왕청현 중북부에 위치하며 현성과는 32㎞ 떨어져 있다. 총면적은 1,354.9㎢이고 인구는 35,400명이다. 천교령진에는 1개 지역 사회와 천교령촌을 비롯한 23개 행정 마을이 있다. 이 가운데 조선족 마을은 구산촌(200명)·천하촌(654명)·천안촌(528명)·청송촌(83명)·신선동촌(247명)·태양촌(388명)·향수촌(249명)·민주촌(120명)·전각루촌(1,072명)·하북촌(745명) 등이 있고 대부분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명칭 유래

선계의 신선이 어느 고갯마루를 통해 인간세상으로 넘나들었다는 전설이 있는 천교령 고개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형성 및 변천

천교령진은 중화민국 시기에 연길현의 제5구에 소속되었다. 1933년에는 아미달(阿米达)·춘양(春阳)·동신(东新)의 세 갈래 협곡이 만나는 곳에 위치하여 삼차구(三岔口)라 불렸다. 일제 강점기에는 연길현 개화촌에 소속되었다가 1938년 왕청현에 귀속되었다. 1949년에는 구가 설치되었고, 1954년 천교령향과 동신향이 설립되었다. 1958년에 천교령공사와 동신공사로 개명되었다. 1964년에 천교령진으로 개편되었고 1983년에 동신공사가 향으로 변경되었으며 1989년에 동신향에 북성자촌(北城子村)이 증설되었다. 1997년 천교령진에 11개 행정 마을과 2개 주민위원회가 있었고, 동신향에는 13개 행정 마을이 있었다.

자연환경

천교령진은 산간 평원지대에 속하며 평균 해발 고도는 250~300m이다. 토양은 흑토가 많고 산비탈과 밭이 대부분이며 일부는 하곡 분지에 속한다. 이곳의 연간 적산 온도는 2,100~2,403℃이고 무상일수는 110~125일이다.

현황

천교령진은 길림성 동부에 위치한 왕청현 중심과 32㎞ 떨어져 있으며, 100여년의 역사를 가진 작은 진이다. 동경 129°28′~129°60′, 북위 43°30′~43°60′ 사이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계관향에 접해 있고, 남쪽으로는 대흥구진과 서쪽으로는 합마당향과 북쪽으로는 춘양진흑룡강성 목단강시와 인접해 있다. 주로 농업과 공업, 목축업을 위주로 하는 경제 활동으로 농가의 수입을 올리고 있다. 이 가운데 목이버섯 재배업과 중약재 산업·축사양기지·야채 재배 등은 천교령진의 주도산업이다. 천교령진에는 발해 유적인 천교령 건축지와 철기시대 고분군인 천교령 고분군이 위치하고 있다.

참고문헌
  • 심혜숙·정매화, 『연변조선족마을과 건설모식』(연변대학출판사, 2009)
  • 『연변조선족자치주 개황』(연변조선족 개황 집필팀, 2009)
  • 『汪淸县志』(왕청현 지방지편찬위원회팀, 2002)
  • 천교령진 행정구획(http://www.xzqh.org/html/show/jl/24583.html)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