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포만족향

한자 楊泡滿族鄉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양포만족향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행정 구역
면적 232㎢
인구 3,830명
개설 시기/일시 1984년 9월 1일
변천 시기/일시 1961년
변천 시기/일시 1983년
동경 130°28′~130°44′, 북위 42°28′~42°48′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에 속하는 행정 구역.

명칭 유래

양포만족향은 1984년 9월 1일, 길림성 인민 정부 비준 하에 설립되었다.

형성 및 변천

양포만족향은 1910년 청 정부에서 혼춘청을 설립 할 때 숭례향(崇禮鄉)이라 불렸다. 1931년 숭례향을 제2구로 개명하면서 덕립(德立)·덕후(德厚)·덕명(德明) 세 개 향으로 분리하였다.

1934년 숭례보(崇禮保)로 개명하였는데 1936년에 다시 숭례촌(崇禮村)으로 개명되었다. 1945년 8월 숭례촌은 숭례구(崇禮區)로, 1950년에는 혼춘현 제2구로 개명되었다.

1956년 혼춘현 제2구에 속하던 양목림자(楊木林子)·포자연(泡子沿) 두 촌락의 이름 첫 자를 합쳐 양포향(楊泡鄉)으로 개명되었다. 1958년 9월, 마천자공사(馬川子公社) 귀속에서 철회되었고 1961년 양포공사(楊泡公社)가 설립되었다. 1983년 양포향으로 다시 개명하였고 1984년 9월 1일 길림성 인민 정부의 비준으로 양포만족향이 설립되었다.

자연 환경

양포만족향혼춘시의 동남쪽에 위치한다. 동경 130°28′∼130°44′, 북위 42°28′∼42°48′에 위치해 있고 동쪽으로 마적달향, 서쪽으로 마천자향, 북쪽으로는 혼춘강을 사이에 두고 하달문향과 인접해 있으며 동남쪽은 러시아와 국경선을 마주하고 있다.

양포만족향은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산간 지대에 위치한다. 산봉우리 해발 고도는 보통 400~800m 정도이다. 그중 연통립자촌(煙筒砬子村)의 흑산(黑山)의 해발 고도가 919m로 가장 높다.

양포만족향은 온대 계절풍 기후구에 속하여 기후가 따뜻하고 연 평균 강우량은 550㎜, 무상일수는 130~160일 정도이다. 토양이 비옥하고 담수 자원이 풍족하여 농업·목축업·어업에 적합하다. 지하자원 매장량도 풍부하여 석탄·청석·화강암·석회암·철광석 등 광물 자원이 많이 채취되고 있다.

현황

양포만족향의 총 면적은 232㎢, 임지 면적은 7,005㏊, 총 경작지 면적은 1,074㏊이다. 촌민들은 주로 벼·콩·옥수수 등 밭농사를 위주로 하고 인삼·목이 버섯·고사리·도라지·송이버섯과 재배업도 겸업한다.

양포만족향의 총 인구는 3,830명이며 이 가운데 조선족이 35.7%, 한족이 32.49%, 만족이 31.8%, 기타 민족은 0.1%이다.

양포만족향에는 양목림자촌(楊木林子村)·포자연촌(泡子沿村)·홍기하촌(紅旗河村)·연통립자촌(煙筒砬子村)·동아랍촌(東阿拉村)·송림촌(松林村)·묘령촌(廟嶺村)이 포함되고 향 소재지는 양목림자촌에 있다.

양목림자촌에는 발해 시대의 사찰, 여진족의 옛 성터, 명나라의 고성, 항일 혁명 유적지들이 많다. 양포향 양목림자촌은 2011년 성급 생태 향진, 성급 생태 마을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 『연변조선족자치주 개황』(연변조선족 개황 집필팀, 2009.6)
  • 혼춘시 양포만족향 인민 정부 사이트(www.ypmzx.hunchun.gov.cn)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