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하 1303호 고분

한자 山城下 1303號 古墳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상세정보
성격 고분
양식 계단식 돌무지 굴방 무덤(적석 광실묘)
크기(높이 한 변 길이 약 18m, 높이 약 5m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66년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3년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7년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4년
소재지 길림성 집안시 산성하 고분군
정의

길림성(吉林省) 집안시(集安市)통구 고분군(通溝古墳群) 산하 산성하 고분군(山城下古墳群)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

위치

산성하 1303호 고분은 남쪽으로 집안현성(集安縣城)과 약 2.5㎞ 떨어진 산성하 고분군에 위치하고 있다. 남쪽으로 통구하(通溝河)가 흐르며, 북쪽으로 30m 지점에 산성하 1304호 고분, 동쪽으로 30m 지점에 산성하 1299호 고분, 남쪽으로 20m 지점에 산성하 1301호 고분, 서쪽으로 20m 지점에 산성하 1305호 고분 등이 위치하고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66년 길림성 박물관, 집안현 문물보관소에서 조사하고 편호하였다. 1983년에는 집안시 박물관에서 보수 및 조사를 실시하였고, 1997년에는 길림성 문물 고고 연구소와 집안시 박물관에서 실측을 진행하였다. 2004년에는 장복유(張福有) 등이 전면 재조사를 진행하였다.

형태

산성하 1303호 고분은 계단식 돌무지 굴방 무덤[적석 광실묘]이며, 분구 한 변의 길이는 약 18m, 높이는 약 5m이다. 평면 형태는 방형으로, 네 변에는 계단이 축조되어 있다. 계단은 가공하여 정연한 석회암질 석재로 축조되었다. 석재의 표면은 모두 심하게 풍화되었다. 묘정 상부에는 함몰된 갱 하나가 있다. 함몰된 갱의 규모는 5×5×1m인데 석광으로 추정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산성하 1303호 고분의 성격은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 분구는 계단상이고, 매장부는 석광이나 광실인 점으로 미루어 무덤의 축조 시기는 4∼5세기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集安縣文物志』(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4)
  • 吉林省 文物 考古 硏究所, 『洞溝 古墓群 1997年 調査 測繪 報告』(集安市 博物館, 2002)
  • 孙仁杰·迟勇, 『集安高句麗墓葬』(香港亞洲出版社, 2007)
  • 여호규·강현숙·백종오·김종은·이경미·정동민, 『중국 소재 고구려 유적·유물Ⅴ(통구분지2),(동북아역사재단, 2022)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