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山城下 1297號 古墳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고분 |
|---|---|
| 양식 | 계단식 돌무지돌굴무덤 |
| 크기(높이 | 한 변의 길이 약 17m, 잔존높이 4.2m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66년 조사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3년 조사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3년 조사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7년 조사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4~2005년 조사 |
| 소재지 | 집안시 산성하 고분군 내 |
길림성(吉林省) 집안시(集安市)의 통구(通溝)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
산성하 1297호 고분은 산성하 고분군 내에 있는 계단식 돌무지 돌굴 무덤[계단 적석 석광묘(階段積石石壙墓)]이다. 축조 시기는 5세기 대로 추정된다.
산성하 1297호 고분은 집안시통구 고분군(通溝古墳群)의 6개 권역 중 하나인 산성하 고분군(山城下古墳群)에 위치하였다. 이 무덤에서 동쪽으로 20m 지점에 산성하 644호분이, 서쪽으로 10m 떨어진 곳에 산성하 1298호분이 있고, 남쪽으로 60m 지점에 산성하 636호분이 자리하고 있다.
산성하 1297호 고분은 방형이며, 네 변의 길이가 고르지 않다. 고분의 서측은 17.2m, 남측은 17m, 동측은 17.2m, 북측은 16.8m이다. 각 변마다 계단이 축조되어 있는데, 고분의 동·북 양측은 3단이며, 서·남 양측은 2단이 남아 있다. 계단석은 모두 가공된 정연한 화강암 석재로 축조되었다. 고분을 덮은 봉석은 모두 강돌[하란석(河卵石)]이며, 크기는 0.2~0.3m 정도이다. 고분 정상부의 중앙에는 동서 길이 5m, 남북 너비 4m, 깊이 1m인 함몰 구덩이가 있는데, 묘광(墓壙)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사 중에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산성하 1297호 고분의 구조, 형식, 축조 방법 등이 모두 산성하 636호 고분 및 산성하 633호 고분과 동일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축조 연대도 두 고분과 비슷한 5세기 대로 추정해볼 수 있다. 다만 고분 정상부의 중앙에 광실이 존재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