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龜甲塚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고분 |
|---|---|
| 양식 | 외방 흙무지돌방무덤 |
| 크기(높이 | 널방 2.75×2.69m, 높이 약 3.17m, 널길 길이 1.27m |
| 조성 시기/일시 | 5세기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13년 |
| 소재지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
길림성(吉林省) 집안시(集安市)산성자 산성 아래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
귀갑총은 1913년 일본인 학자 세키노 다다시[關野貞]가 조사하였다.
귀갑총은 흙무지 돌방무덤으로, 외형은 위쪽이 평평하고 네모진 형태[절두방추형(截頭方錐形)]이다. 돌방의 입구는 서남향이다. 돌방은 널길과 널방으로 이루어진 외방 무덤이고, 천장은 궁륭(穹窿) 평행 말각조정식으로 짜여 있다. 널방은 2.75×2.69m, 높이 약 3.17m이고, 널길의 길이는 1.27m로 작은 규모이다. 돌방의 벽면 전체에 백회를 바르고 그 위에 기둥과 들보를 그려 건물 내부를 표현했고, 적색과 흑색의 귀갑문으로 전체를 구성했으며, 그 귀갑문 안에 측면관의 연화문을 배치했다. 이 귀갑문의 표현에 대하여 사진이나 보고서 등에 자세히 알려진 것은 없고, 다만 세키노 다다시가 「滿洲國輯安縣に於ける高句麗時代の遺跡」에서, “그 천장의 구조는 삼실총(三室塚)과 같고, 벽 모서리에 기둥과 두공형(斗拱形)을 그리며, 벽면에 귀갑형(龜甲形)을 만들어 그 안에 각각 산연화총(散蓮華塚)의 것과 흡사한 연화문(蓮華文)을 채워넣고, 또 입구의 주연(周緣)에 일종의 반규문(蟠虯文)과 같은 당초문양(唐草文樣)을 나타내었다”라고 그 양상을 간략하게 기록한 것을 참고할 수 있다.
기둥과 두공(斗栱)을 그려 건물 내부를 표현했고, 그 내부 벽면에 거북이 등무늬의 얼개 안에 연화문을 배치했다는 것이다. 이 연화문은 산연화총의 측면관 연화문과 매우 유사하며, 입구의 주위에는 넝쿨 형식으로 된 반용문(蟠龍文)과 괴운문(怪運文)을 둘렀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