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折天井塚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고분 |
|---|---|
| 양식 | 벽화 고분 |
| 크기(높이 | 곁방 길이 1.75m.이음길 길이 1.1m, 너비 1.25m. 널방 길이 4m, 너비 3.6m, 높이 3.3m. |
| 조성 시기/일시 | 5세기 전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35년 |
| 소재지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
길림성 집안시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
절천정총은 1935년 일본인 학자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 우메하라 스에지[梅原末治]가 처음으로 상세히 조사했다.
절천정총은 방형의 계단식 돌무지무덤으로 현재는 3층까지만 확인된다. 내부에는 돌방이 꾸며져 있는데, 널길, 곁방, 이음길, 널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널길의 서북단에 정방향의 곁방이 있는데, 길이 1.75m로 규모가 작다. 곁방은 화강암으로 구축하여 백회를 발랐는데, 지금은 백회가 모두 떨어져 나갔다. 곁방에서 널방으로 들어가는 이음길은 길이 1.1m, 너비 1.25m이다. 널방은 불규칙한 평면으로 길이 4m, 너비 3.6m, 높이 3.3m이다. 널방의 벽면은 거칠게 다듬은 돌을 쌓아 올리면서 위로 갈수록 안으로 좁아지다가 천정에서는 기와지붕의 내부처럼 꺽임천장을 구성했다. 널방 바닥에는 벽면에 발랐던 많은 백회석이 쌓여 있는데, 그 가운데 벽화를 그린 조각들이 있다. 그 중에는 주홍색의 인물의 허리부와 붉은 색으로 의복을 그린 것과 먹색으로 선을 두르고 그 안에 주홍색을 그려 넣은 도안도 있다. 이 벽화의 양식이 우산하 1041호 고분과 비슷한 점으로 보아 제작 연대를 5세기 전후로 추정한다.
절천정총은 우산하 1041호 고분과 더불어 돌무지무덤이면서 내부 석실에 벽화가 그려진 고분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벽화 고분이 초기인 5세기 전후에는 흙무지무덤뿐만 아니라 돌무지무덤에도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