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萬寶汀 1368號 古墳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고분 |
|---|---|
| 양식 | 외방의 흙무지돌방 벽화무덤 |
| 크기(높이 | 봉토의 바닥부 길이 6m, 너비 5m, 잔존 높이 1.9m |
| 문물|보호단위등급 | 중국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66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2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7년 |
| 소재지 | 길림성 집안시 |
길림성(吉林省) 통화시(通化市) 집안시(集安市)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벽화 고분.
만보정 1368호 고분은 통구 고분군(通溝古墳群)의 6개 권역 중 하나인 만보정 고분군(萬寶汀古墳群) 내에 있는 벽화 무덤이다. 만보정 1368호 고분은 외방의 흙무지 돌방무덤으로서, 돌로 쌓은 부엌이 있고, 집안 지역의 초기 벽화 고분에서 보이는 특징을 잘 보여준다.
만보정 1368호 고분은 집안산성자 산성(山城子山城)의 서남편, 칠성산(七星山) 동쪽 기슭을 따라 전개된 얕은 구릉지 경사면의 중턱에 위치하였다.
만보정 1368호 고분은 외방의 흙무지 돌방무덤으로 무덤의 방향은 서쪽으로 14° 기운 남향이다. 무덤길, 널길, 무덤칸이 남아 있다. 널길은 길이 1.8m, 너비 0.55m, 높이 1.3m 정도인데, 윗부분은 3개의 석판으로 덮혀 있다. 무덤칸은 평면이 장방형이며, 남북 길이는 약 3.2m, 동서 너비는 2.44m이다. 무덤칸의 천장 구조는 사아식(四阿式)으로 무덤칸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3.20m이다. 무덤칸의 네 벽과 바닥·천장 굄부의 전면에 백회를 발랐다. 무덤칸 서부에는 돌로 만든 장방형의 관대가 있는데, 관대의 북·남 양면은 북벽·서벽과 붙어 있는 형태이며, 관대의 바깥쪽에도 역시 백회가 발라져 있다. 관대의 길이는 남북 너비 2.43m, 동서 너비 1.45m, 높이 0.4m이다.
무덤칸의 동벽 모서리에는 돌로 쌓은 부엌이 축조되어 있는데, 형태는 장방형이며, 길이 1m, 너비 0.32~0.36m, 높이 0.19m이다. 그 남쪽 끝에는 돌로 만든 화덕이 있으며, 화덕 가운데에는 원형의 받침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서측면에는 화구(火口)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무덤칸 네 벽의 윗면에 32~69㎝ 간격으로 벽마다 쇠못을 박았는데. 쇠못의 머리 부분이 위로 구부러진 것으로 보아 만장을 거는 용도로 추측된다. 고분의 벽화는 무덤칸의 네 벽과 천장부에 그려져 있는데, 흑색 기둥을 그려 놓았다. 기둥은 8개로 네 벽 모서리에 각 1개씩, 동·서·북벽의 중앙과 남벽의 약간 동편에 치우친 곳에 각 1개씩 그려져 있다. 무덤칸 벽과 천장부 경계 지점에는 들보를 그려 벽과 천장부를 구별하였다. 기둥과 들보의 연결부에는 이중 두공을 그려 목조 건물의 내부 구조를 재현하였는데, 보통 집안 지역의 고구려 벽화 고분 가운데 무덤칸 내에 목조 건물의 지붕과 들보를 그린 벽화 고분은 대개 주색(朱色)이나 자홍색(赭紅色)을 사용한 데 비해, 만보정 1368호의 벽화는 검은색이 사용된 것이 특징이다.
만보정 1368호 고분은 오래 전에 도굴되어 유물은 전혀 남아 있지 않다.
만보정 1368호 고분은 1966년에 벽화고분이라는 사실이 처음 확인되었고, 1997년 길림성 문물 고고 연구소와 집안시 박물관에서 통구 고분군에 대한 조사를 대대적으로 진행하면서 실측을 진행했다. 특히 이 무덤의 무덤길, 널길, 무덤칸 구조 및 벽화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만보정 1368호 고분의 축조 시기에 대해 마선구 1호분과 장천 2호 고분, 삼실총(三室塚)처럼 화덕이 발견된다는 점을 근거로 5세기에 축조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그러나 다른 고분들의 화덕이 유약을 바른 도기인 점과는 달리 만보정 1368호 고분의 경우 재질이 돌이며, 형태도 길이가 긴 장방형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오히려 벽에 비해 천정이 높은 구조적 특징이나, 장방형 널방의 널길은 초기 벽화 고분에서 보이는 구조적 특징이므로 4세기 중엽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무덤은 집안 지역의 초기 벽화 고분이 나타나는 양상을 엿볼 수 있는 하나의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