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저총

한자 角觝塚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태왕진 과수촌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상세정보
성격 벽화 고분
양식 장방형식 두 방 무덤
크기(높이 분구 밑둘레 한 변 약 15m, 높이 4m
조성 시기/일시 5세기 말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35년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66년
보수|복원 시기/일시 1955년, 1962년, 1963년, 1964년, 1976년
보수|복원 시기/일시 1976년
소재지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태왕진 과수촌
정의

길림성(吉林省) 통화시(通化市) 집안시(集安市) 태왕진(太王鎭) 과수촌(果樹村)우산(禹山)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벽화 무덤.

개설

각저총은 집안시 통구(通溝)집안현성 북동 약 3㎞의 여산 동남쪽에 있는 고구려 중기[4세기 말~5세기 초]의 벽화 무덤이다. 각저총이라는 이름은 최초 조사 당시 널방 동쪽[왼쪽] 벽에서 발견된 씨름도로 말미암아 붙여졌다. 각저총 벽화는 인물화 중심의 풍속도이며, 북한 측은 씨름 무덤이라 부르며, 중국측에서는 각저묘라고 한다.

위치

각저총은 우산(禹山) 남쪽 기슭에 무용총(舞踊塚)과 나란히 자리 잡은 고분이다. 집안시 동북쪽 3㎞ 지점, 우산 고분군 남쪽 기슭 나지막한 언덕의 과수원 한가운데에 ‘통구 고분군’이라는 표지판이 있다. 여기에 두터운 철제 창문으로 굳게 잠긴 각저총무용총이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각저총은 1935년에 발견되어 일본인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 등에 의해 조사되었다. 1955년, 1962년 및 1963년에 거듭 무덤 수리가 행해졌고, 1966년 다시 실측되면서 집안 통구 고분군 우산 묘구 제457호묘로 명명되었으며, 1976년 보존을 위해 벽화에 화학 안료의 막을 입혔다.

형태

각저총의 규모는 직경 15m, 높이 4m이고, 봉토는 방대형이다. 구조는 장방향의 앞방[전실]과 시신을 안치하는 방형의 널방[현실], 그리고 이 두 방을 연결하는 통로로 이루어진 두방 무덤[이실묘]이며, 묘실의 방향은 서쪽으로 50° 기울어진 남향이다.

앞방의 크기는 길이 1.2m, 폭 1m, 높이 2.1m이며, 나무와 불꽃 무늬[화염문(火炎文)]가 있으며, 개[맹견] 그림이 있다. 사방의 들보 위에는 3각형의 불꽃 무늬가 이어져 천정을 표시하고 있다.

널방의 네 귀퉁이에는 적갈색의 두공(枓栱)과 도리를 그려 목조 가옥의 인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안벽[北璧] 전면에 화려한 커튼이 처져 있는 내부를 그려 놓은 후, 무덤의 주인공 부부와 그의 처첩, 남녀 시종, 동자 등을 차례로 그려 놓았다. 동벽에는 씨름 그림과 부엌 그림이, 서벽에는 수레와 나무가, 남벽에는 나무가 그려져 있다.

바닥은 널방 좌측 벽 아래에 관상(棺床)의 파편[석판(石板)]이 남아 있으며, 또한 현재의 ㄱ자형 무덤 바깥길[묘도(墓道)]은 무덤 보호상 후대에 만든 것이다.

무덤 안길[용도(甬道)], 앞방, 주실의 벽에도 백회를 바르고 그 위에 벽화를 그렸으나,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백회면이 많이 노출되었고, 그림 또한 크게 훼손되었다.

출토 유물

각저총에서 나온 유물은 없으며, 훼손이 심한 상태의 벽화만 있을 뿐이다. 각저총은 무덤과 두 부인의 그림으로도 익숙한 벽화 고분이다. 또한 매부리코의 서아시아계 인물과 고구려인 사이의 씨름 그림으로 잘 알려져 있다. 벽화의 주제는 생활 풍속도인데, 사신도(四神圖)가 없고, 인물 풍속도를 그린 점이 특징이다. 1935년 동시에 조사된 무용총과 규모나 기교가 같다.

현황

2004년 각저총을 비롯한 통구 고분군은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의의와 평가

각저총은 고구려 벽화무덤 가운데 상대적으로 이른 시기인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에 조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벽화의 주제는 생활과 풍속이 주를 이루는데, 이를 통해 당시 고구려인의 다양한 생활 모습과 풍속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씨름도에 눈이 크고 코가 높은 서역계 인물이 그려져 있는데, 고구려와 서역의 문화교류를 반영하는 그림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참고문헌
  • 吉林省博物志編委會, 『集安縣文物志』,(吉林省文物志编委会, 1984)
  • 池內宏·梅原末治,『通溝』下( 日滿文化協會, 1940)
  • 김기웅, 『한국(韓國)의 벽화 고분(壁畵古墳)』(동화 출판 공사, 1982)
  • 전호태, 『고구려 고분 벽화 연구』(사계절 , 2000)
  • 국립 공주 박물관,『고구려 고분 벽화 모사도』(국립 공주 박물관, 2004)
  • 김이나, 『세계 문화 유산 고구려 고분 벽화』(예맥 출판사, 2005)
  • 이도학 외 2인, 『태왕의 나라·고구려 유적』(서경 문화사, 2011)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