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禹山下 2174號 古墳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고분 |
|---|---|
| 양식 | 유단 흙무지돌방 벽화고분 |
| 크기(높이 | 한변 길이 16m, 높이 7m.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3년 |
| 소재지 | 길림성 집안시 태왕진 과수촌 |
길림성(吉林省) 집안시(集安市) 태왕진(太王鎭) 과수촌(果樹村)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벽화 고분.
우산하 2174호 고분은 통구 고분군(通溝古墳群)의 6개 권역 중 하나인 우산하 고분군(禹山下古墳群) 내에 있는 무덤이다. 두 개의 무덤칸을 만들고, 벽화를 그린 유단식 흙무지 돌방 벽화 고분이다.
우산하 2174호 고분은 우산하 고분군 중부 남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북쪽으로 약 30m 떨어진 지점에 통구(通溝)-길림(吉林) 간 도로가 있으며, 남서쪽으로 약 100m 지점에는 삼실묘(三室墓)가 있다. 남쪽으로 약 300m 거리에는 사회분(四盔墳)이 있다.
우산하 2174호 고분은 1993년 통구 고분군의 대규모 보수 작업을 진행할 때, 벽화가 발견되었다. 무덤의 흙무지를 다듬는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묘 안에 벽화가 있었음이 확인되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떨어져 나갔다.
우산하 2174호 고분은 유단식(有段式) 흙무지 돌방 벽화 고분이며, 한변 길이가 16m, 높이는 7m이다. 무덤 방향은 남으로 10° 기운 서향(西向)이며, 묘장은 남실과 북실 등 2실로 나누어져 있다. 고분은 남과 북으로 나란히 두 개의 무덤칸을 지상에 설치하고 남쪽 무덤칸의 북벽과 북쪽 무덤칸의 남벽 서쪽을 뚫어 이음길을 냈으며, 다시 남쪽 무덤칸의 서벽에 북쪽으로 치우쳐 널길을 설치한 특이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남실·북실 등 두 실의 표면 모두 벽화가 그려져 있으나, 모두 떨어져 나가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없다.
우산하 2174호 고분은 두 개의 무덤칸을 만들고, 무덤칸을 잇는 이음길을 낸 특이한 축조 방법을 보이고 있으며, 고구려고분 연구에 귀중한 자료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