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禹山下 2114號 古墳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태왕진 우산촌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고분 |
|---|---|
| 양식 | 흙무지돌방무덤 |
| 크기(높이 | 둘레 약 120m, 높이 약 8m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66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4년 |
| 소재지 | 길림성 집안시 태왕진 우산촌 |
길림성(吉林省) 집안시(集安市) 태왕진(太王鎭) 우산촌(禹山村)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
우산하 2114호 고분은 통구 고분군(通溝古墳群)의 6개 권역 중 하나인 우산하 고분군(禹山下古墳群) 내에 있는 무덤이다.
우산하 2114호 고분은 태왕진 우산촌의 통구 고분군 우산 묘구 중 북쪽으로 약간 치우친 곳에 위치한다. 북고남저의 완만한 산비탈에 있으며, 남쪽에는 집안-과수장의 도로가 있다. 서북으로 약 90m 떨어진 지점에는 우산하 2115호 고분이, 서남으로 약 120m 떨어진 지점에는 오회분 5호 고분이 있다.
1966년 길림성 박물관, 집안현 문물보관소에서 실측 조사를 하였다. 2004년 장복유(張福有)·손인걸(孫仁杰)·지용(遲勇) 등에 의해 조사가 이루어졌고, 조사 내용은 2007년 「고구려왕릉 통고 요보(高句麗王陵通考要報)」에 발표되었다.
우산하 2114호 고분은 흙무지 돌방무덤[봉토 석실묘]으로, 둘레 약 120m, 높이 약 8m이다. 봉토는 절두방추형이며, 아직 발굴하지 않아 무덤칸 내부 및 구조는 알 수 없다. 무덤의 외측에서 15m 떨어진 곳에 돌로 쌓은 묘단이 있다.
우산하 2114호 고분 주위에서는 많은 암키와와 수키와 잔편이 수집되었다.
우산하 2114호 고분은 대형 흙무지 돌방무덤에 속하며 무덤 주변에 기와가 흩어져 있고 묘단이 구축되어 있다. 축조 시기와 관련해서 우산하 2115호 고분의 남쪽, 사신총(四神塚)의 북쪽에 위치하므로, 사신총보다는 빨리, 우산하 2115호 고분보다는 늦게 축조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고구려 24대 왕인 양원왕[재위 545~559]의 또 다른 왕호가 양강상호왕(陽崗上好王)임에 주목하여 양원왕의 무덤으로 추정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