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하 0호 고분

한자 禹山下 0號 古墳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상세정보
성격 고분
양식 유단식 돌무지돌굴무덤〔적석석광묘(積石石壙墓)〕
크기(높이 남북 길이 30m, 동서 너비 28m, 높이 2.5m.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9년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3년
소재지 길림성 집안시 태왕진 우산하
정의

길림성(吉林省) 집안시(集安市) 태왕진(太王鎭)우산하 고분군(禹山下古墳群) 내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

개설

우산하 0호 고분통구 고분군(通溝古墳群)의 6개 권역 중 하나인 우산하 고분군 내에 있는 무덤이다. 1989년 공사 중 처음 발견되었으며, 현재 훼손이 심한 상태이다. 중국 학자들은 고구려 2대 왕인 유리왕(琉璃王)의 무덤으로 보고 있다.

위치

우산하 0호 고분은 태왕진우산하 묘구의 우산(禹山) 서쪽 끝 높은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으로 우산하 고분군이 이어지고, 서쪽으로 통구하곡(通溝河谷)이 내려다보이며, 남쪽으로 국내성(國內城)이 보이고, 북쪽으로 우산을 기대고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우산하 0호 고분은 1966년 길림성 박물관과 집안현 문물보관소의 통구 고분군 실측 조사 때에는 누락되었다. 이유는 무덤이 낮고 작았으며, 그나마 무너져서 그 외형이 불규칙하였고, 오랜 기간 부식토가 두껍게 덮여 있어서, 이 유형의 묘장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이후 1989년 집안시 관계 부서가 산 정상에 열사탑(烈士塔)을 축조할 때, 시공 과정 중에 발견되었다. 시 문관소(市文管所)가 소식을 듣고 현장에 도착했을 때, 무덤은 이미 대부분 훼손되어, 북측과 동측 가장자리의 흔적만을 찾을 수 있었다고 한다.

형태

우산하 0호 고분은 유단식 돌무지 돌굴무덤[적석 석광묘(積石石壙墓)]으로 남북 길이 30m, 동서 너비 28m, 높이 2.5m이다. 평면은 대략 타원형으로, 북변은 비교적 일직선이고 남변은 바깥으로 둥근 편이다. 무덤 위에는 화산암인 용석(熔石)이 있다.

출토 유물

소성도는 낮고 모래가 섞인 갈색 항아리의 목부분과 함께 대량의 기와 잔편들이 무덤에 흩어져 있었다.

현황

현재는 고분의 흔적을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의의와 평가

우산하 0호 고분에 대해 중국 학자들은 왕릉, 그 중에서도 고구려의 초기 왕릉으로 비정하고 있다. 특히, 『삼국사기』에서 고구려 2대 왕인 유리왕이 묻힌 ‘두곡동원(豆谷東原)’의 위치를 통구하 동쪽 국내성 북쪽의 고지대, 그리고 ‘두곡리궁(豆谷離宮)’을 이수원남(梨樹園南) 유적지로 비정하면서, 우산 0호 고분을 유리왕의 무덤에 부합한다고 보기도 한다.

참고문헌
  • 孫仁杰·違勇, 동북아 역사재단 번역, 『集安高句麗墓葬』(동북아역사재단, 2007)
  • 張福有·孫仁杰·遲勇, 「高句麗王陵通考要報」(『東北史地』2007-4, 吉林省社會科學院, 2007)
  • 『(DVD) 중국소재 고구려 유적·유물2』(동북아역사재단, 2011)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