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長川 古城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청석진 장천촌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성곽 |
|---|---|
| 양식 | 평지성 |
| 길이 | 동벽 90.2m, 서벽 90m, 남벽 93.8m, 북벽 96m |
| 둘레) | 370m |
| 문물|보호단위등급 | 시급 중점문물보호단위 |
| 조성|건립 시기/일시 | 고구려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62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72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0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3년 |
| 현 소재지 | 길림성 집안시 청석진 장천촌N : 41°14'33.85" E : 126°20'40.58" |
길림성 집안시 청석진 장천촌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평지성.
장천 고성은 압록강 강변에 펼쳐진 충적 대지보다 10m 정도 높은 2단 충적 대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1962년 실측 자료에 따르면 동벽 길이 90.2m, 서벽 길이 90m, 남벽 길이 93.8m, 북벽 길이 96m로, 전체의 둘레가 대략 370m 가량인 방형 평지성이다. 1983년 5월 재조사 당시에는 남벽과 북벽은 토축, 동벽과 서벽은 석축임이 밝혀졌다.
장천 고성은 압록강 2단 충적 대지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는데, 성의 서쪽에는 청동기 시대 유적이 확인된 바 있다. 또한 장천촌의 동쪽 주변의 충적 대지에는 고구려 돌무지무덤이 1백 여기 이상 분포해 있으며, 장천촌 서북쪽 산기슭에는 장천 2호분을 비롯한 벽화 고분과 대형 계단식 돌방돌무지무덤[석실 적석묘]가 위치해 있고, 고성의 서남쪽 충적 대지상에도 대형 돌무지무덤 2기가 위치해 있다.
장천 고성은 압록강 수로를 이용하고, 통제하기 위한 성곽일 가능성이 높다. 중국측에서는 성 주변에 고구려 시대의 귀족 무덤으로 추정되는 대형 계단식 돌방돌무지무덤[석실 적석묘]과 벽화 고분이 분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구려 귀족 세력과 연관이 있는 마을 유적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성곽이 비교적 소규모이고, 압록강변 충적 대지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단순한 마을 유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최근 양민 고성(良民古城)을 비롯하여 압록강 중상류 연안에 장천 고성과 입지 조건이나 규모가 유사한 성곽이 다수 확인되고 있는 점도 그러한 설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