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老邊墻 關隘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양수조선족향 해관촌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성곽 |
|---|---|
| 양식 | 관애 |
| 크기(높이 | 1~2m |
| 길이 | 170m(200m) |
| 현 소재지 | 길림성 통화 집안시 양수향 해관촌N : 40°55'29.70"E : 125°49'53.00" |
길림성(吉林省) 집안시(集安市) 양수향(凉水鄕) 해관촌(海關村)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관애(關隘).
노변장 관애가 위치한 만구 골짜기는 길이 3㎞ 정도로 남북으로 길게 펼쳐져 있는데, 양쪽 계곡은 가파른 절벽이다. 서쪽 산기슭에서 발원한 시냇물이 골짜기를 관통하여 해관촌 부근에서 양수천자하(凉水泉子河)에 유입되어 남류하다가 압록강으로 유입된다.
관애는 거칠게 다듬은 석재를 이용하여 쌓았는데, 성벽의 방향은 230°이며, 전체 길이는 170m가량이다. 성벽의 내부는 잔돌과 자갈로 채운 다음 진흙을 섞은 것으로 보이며, 성벽의 윗면에도 진흙으로 덮었을 가능성이 있다.
노변장 관애의 성벽은 동쪽 계곡에서 시작하여 충적 대지상에 수평으로 40m를 쌓은 후 다시 산기슭을 따라 산중턱의 가파른 수직 암벽까지 약 130m를 축조하였다. 하상의 붕괴로 인해 서쪽 끝부분의 20m가량이 유실되었으므로, 전체 차단벽의 원래 길이는 약 200m 내외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아 있는 성벽의 잔존 높이는 1~2m가량이며, 기저부 너비는 8m, 상부 너비는 1~1.8m이다. 계곡 건너편 서쪽 계곡부 위에도 차단벽 일부로 추정되는 돌무더기가 남아 있고, 관애 남쪽 70m 지점에도 보조 관애로 추정되는 석축 흔적이 남아 있다.
노변장 관애는 계곡을 가로질러 차단벽을 쌓았기 때문에, 현재 계곡물과 인접한 성벽은 거의 대부분이 유실된 상태이다. 그렇지만 계곡의 동쪽과 산기슭에 위치한 성벽의 경우 많이 허물어지기는 했지만 석축 성벽 자체는 잘 남아 있는 상태이다. 또한 관애 남쪽에 위치한 보조 석축 또한 허물어지기는 했지만, 비교적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본래 관애 남쪽 300m 지점에는 고구려 돌무지무덤들이 있었으나, 1983년 중국측 조사 당시에는 3기만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