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산 산성

한자 東山 山城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길림성 길림시 교하시 신참진 육가자촌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상세정보
성격 성곽
양식 토석 혼축 산성
크기(높이 10.2m~4.6m
길이 남북 65m, 동서 45m
현 소재지 길림성 교하시 신참진 육가자촌
정의

길림성(吉林省) 길림시(吉林市) 교하시(蛟河市) 신참진(新站鎭) 육가자촌(六家子村)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산성.

개설

동산 산성은 중국측 자료에는 고구려의 성곽으로 소개되고 있으나 부여 산성으로 보는 학설이 제기되고 있다.

건립 경위

동산 산성고구려 산성이라고 하나 수축 시기는 이전 시기로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도 있다. 교하 지역이 길림 분지의 동남부에 위치하고, 연변(延邊) 지역으로 나아가는 길목에 자리잡고 있다는 점에서 고구려 이전의 시대부터 주민들의 주요한 활동 지역이었고, 일대에 부여의 유적들이 산재해 있다는 점에서 부여의 성곽일 가능성도 있다. 그럴 경우 부여 이래의 거점을 고구려가 계속 사용한 성곽으로 볼 수 있다. 산성의 입지 조건을 볼 때 남산 산성과 마찬가지로 교통로 확보를 위해 축조된 산성으로 보인다.

위치

동산 산성은 동쪽으로 동구촌(東溝村)에서 5㎞, 남으로는 교하에서 서란(舒蘭)으로 가는 철도와 격해 있으며, 양교둔(陽橋屯)에서 2.5㎞의 위치에 있다. 서쪽으로 육가둔(六家屯)에서 2.5㎞, 북쪽으로 민주촌(民主村)에서 4㎞ 떨어진 지점이다. 산 아래로는 민주하(民主河)가 북쪽에서 남쪽으로 흘러간다. 육가자촌의 동쪽 산은 노부령의 지맥으로 부근 평지보다 300m 정도 높이 솟아 있고 남북 방향으로 뻗어가며 4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의 봉우리가 주봉이며, 서·북·동쪽 면은 가파른 절벽으로 이어지고 남쪽 면이 비교적 완만하다.

형태

동산 산성은 산세를 따라 주봉우리의 정상부에 축조되어 있어 4면이 높고 내부가 낮은 타원형의 평면을 보인다. 성안은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다. 성의 동·남·서쪽의 3면은 산등성이로 자연 성벽을 삼았다. 북쪽 면은 산등성이를 따라 토석 혼축으로 성벽을 쌓았다. 가장 높은 곳이 10.2m이고 가장 낮은 곳이 4.6m이며 정상부의 최대 너비는 3.6m 정도이다. 산성의 남북 직경은 65m, 동서 구간의 너비는 45m이다. 성의 서남부에는 문길이 하나 있는데 너비가 7m이다. 산성의 위치와 구조 등으로 보아, 횡도하자(橫道河子)의 남산 산성(南山山城)과 유사하다.

현황

2007년 동산 산성 답사에서 주위를 감시하고 통제할 수 있는 지리적 위치를 점하고 있음은 알 수 있으나, 훼손이 심각해 인공적인 성벽 축조의 흔적은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의의와 평가

동산 산성의 수축 시기와 관련하여 왕우랑(王禹浪)은 이 성곽이 남산 산성과 유사하며, 고구려광개토왕 때 길림 지역까지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이 산성을 고구려 산성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교하 일대에는 소립자 산성(小砬子山城) 등의 부여 산성과 복래동 성지(福來洞城址)·신가 성지(新街城址) 등 부여 문화를 알려주는 유적과 유물들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이 점에서 동산 산성 역시 부여의 산성으로 고구려가 이 지역을 장악한 뒤에 계속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참고문헌
  • 길림성문물지 편찬위원회 편, 『蛟河市文物志』,1986
  • 國家文物局 主編, 『中國文物地圖集』 吉林分冊(中國地圖出版社, 1993)
  • 王禹浪·王宏北,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哈爾濱出版社, 1994)
  • 이성제, 「부여와 고구려의 관계사에서 보이는 몇 가지 쟁점」(『부여사의 제문제』, 2008)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