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大韓 獨立軍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항일 무장 단체 |
|---|---|
| 설립 시기/일시 | 1919년 후반 |
| 개칭 시기/일시 | 1920년 3월 말 |
| 개칭 시기/일시 | 1920년 5월 말 |
| 개칭 시기/일시 | 1920년 7월 |
1920년 3월 말 군무 도독부, 같은 해 5월 말 대한 북로 독군부(大韓北路督軍府), 같은 해 7월 동도 독군부(東道督軍府)로 소속과 명칭이 바뀌었다.
1920년 초반 두만강을 건너 국내로 진입하여 큰 전과를 거둔 대한 독립군은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에서 크게 활약한 뒤 1920년 말경까지 대부분 노령으로 이동하여 새로이 ‘대한 독립군단’을 이루었다.
대한 독립군 부대는 1920년 초반부터 최명록의 도독부 독립군 부대와 연합하여 대규모 국내 진입 작전을 전개하였다. 또 1919년 12월과 1920년 3월 각각 대한 독립군 명의의 유고문(諭告文)과 경고문을 발표하여 독립군 무장 투쟁의 정당성을 널리 알리는 한편, 근거지 일대에서 다른 군소 단체들이 각종 명목 기부금 징수를 금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간도와 연해주, 국내의 두만강 일대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경찰 보조원 및 기타 밀정에게 엄중히 경고하여 독립군으로서의 기개를 과시하기도 했다.
대한 독립군은 1920년 6월의 봉오동 전투와 같은 해 10월의 청산리 전투에서 크게 활약하였다. 대한 독립군은 청산리 전투에서 크게 활약한 뒤 1920년 말경까지 대부분 노령으로 이동하여 새로이 대한 독립군단을 이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