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무 도독부

한자 軍務 都督府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길림성 왕청현 봉오동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항일 무장 단체
설립자 최명록|홍범도| 안무 등
설립 시기/일시 1919년
정의

1919년 중국길림성 왕청현 봉오동에서 조직된 독립군단.

개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북간도로 건너와 독립 전쟁을 준비한 애국 지사들은 무장 활동을 전개할 독립군단을 조직하였다. 북간도 왕청현에 터를 잡고 기회를 기다리던 최명록(崔明錄)[일명 최진동(崔振東)]도 동지들과 북간도 한인 사회의 젊은이들과 국내에서 넘어 온 한인 청년들을 모집해 군무 도독부를 설립했다.

변천

군무 도독부는 중대와 소대의 편제를 갖추고 수백정의 소총과 권총 및 수류탄 등을 보유한 강력한 무장 독립군단으로 총사령관은 최명록이었다. 군무 도독부는 조직된 이후 1920년대 전반기까지 수차에 걸쳐 두만강을 넘어 국내로 진입해 일제의 군경을 상대로 유격전을 펼쳤다.

1920년 5월에는 홍범도가 이끈 대한 독립군안무가 이끈 국민회군과 연합해 대한 북로 독군부를 결성하였다. 대한 북로 독군부는 더욱 강력해진 힘으로 일제 군경에 대항해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했다. 대한 북로 독군부의 부장은 최명록이었고, 북로 제1군 사령부 부장은 홍범도였다. 세 군단이 연합한 대한 북로 독군부는 1920년 6월 북간도를 침입해 온 일본군 대부대를 왕청현의 봉오동 골짜기로 유인해 섬멸시키는 봉오동 대첩의 승리를 이끌었다.

봉오동 대첩 후 군무 도독부대한 독립군 및 국민회군에서 분리되어 나와 혼춘 사건을 조작해 서북간도를 침입한 일본군들과 전투를 벌인 후 러시아연해주로 이동하였다. 러시아자유시까지 이동한 군무 도독부 군대는 다른 독립군단들과 연합해 대한 독립단의 일원이 되었다. 그러나 이 곳에서 1921년 6월 자유시 참변을 겪고 난 뒤 군무 도독부 군대는 대부분 흩어졌고, 일부는 소비에트 적군에 편입되었다.

의의와 평가

군무 도독부 소속 독립군들의 활동은 침략자 일제에게 한민족도 얼마든지 무력적으로 대항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군무 도독부가 보여준 국내 진입전과 봉오동 대첩은 일제에게 한민족을 식민 지배하기가 결코 쉽지 않을 것임을 깨우쳐준 항일 투쟁사의 주요한 사건이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유공자협회 엮음, 『중국동북지역 한국독립운동사』(집문당, 1997).
  • 장세윤, 『홍범도-생애와 독립전쟁』(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7).
  • 반병률, 『한국독립운동의역사』 49 (1920년대 전반 만주·러시아지역 항일무장 투쟁)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