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白西 農莊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유하현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민족 운동 단체 |
|---|---|
| 설립자 | 김동삼 등 |
| 설립 시기/일시 | 1915년 |
| 해체 시기/일시 | 1919년 |
부민단과 신흥학교 간부들은 1914년 가을부터 신흥학교 졸업생들을 중심으로 수천 명의 병력을 수용할 수 있는 병영을 만들어갔다.
수많은 인력과 물자를 동원한 결과 소북차 일대의 나무를 벌목하고 1915년 장주실(莊主室)·훈독실(訓督室)·총무실·의무실·수품실(需品室)·농감실(農監室)·교도실·강당·중대장실·소대장실·치료실·식당·취사실·창고 등과 각 부대의 병사실 등으로 설치된 병영을 완성할 수 있었다. 병영에는 신흥학교의 제1회부터 제4회 졸업생 일부와 각 분교, 노동 강습소 등에서 교육받은 385명이 입영하였다.
농장의 장주(莊主)는 김동삼(金東三), 훈독(訓督)은 양규열(梁圭烈), 수품(需品)은 곽문(郭文), 총무는 김정제(金定濟), 경리는 김자순(金子淳), 의감(醫監)은 김환(金煥), 의무는 정선백(鄭善伯), 농감(農監)은 백광운(白狂雲), 교관은 허식(許湜)·강보형(姜保衡)·김동식(金東植)·김영윤(金永胤), 교도 대장은 이근호(李根浩), 제1중대장은 안상목(安相睦), 제2중대장은 박상훈(朴相勳), 제3중대장은 김경달(金敬達)이 맡았다.
그러나 백서 농장은 기후와 풍토가 맞지 않은 상태에서 물자가 부족하고 교통까지 불편하여 많은 군인이 영양실조와 각종 질병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따라 치료를 위해 떠나거나 그냥 농장을 나서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병영이 비게 되었다.
1919년 3·1 운동 후 한족회의 지시로 문을 닫았다. 백서 농장에 남아 있던 사람들은 한족회의 군사 조직인 서로 군정서로 편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