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恩眞 中學校 |
|---|---|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종교/기독교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중학교 |
|---|---|
| 설립자 | 푸트 |
| 개교 시기/일시 | 1920년 2월 |
| 폐교 시기/일시 | 1946년 9월 |
| 이전 시기/일시 | 1921년 |
| 개칭 시기/일시 | 1936년 |
| 개칭 시기/일시 | 1938년 |
| 개칭 시기/일시 | 1942년 |
| 개칭 시기/일시 | 1945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30년 |
| 최초 설립지 | 은진중학교 |
| 현 소재지 | 은진중학교 |
1920년 길림성 연길현 용정에서 캐나다 장로교파 선교사들이 설립한 민족 학교.
은진중학교는 1920년 2월 캐나다 장로교파 선교사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초대 교장은 푸트(W.R. Foote)였고 당시 북간도 한인 사회 지도자였던 김약연·이병하 등이 고문으로 선임되었다.
은진중학교는 개교 다음해인 1921년 영국 조계지 내에 새 교사를 짓고 시설을 확충하면서 교세가 크게 확장되었다. 북간도 지역의 한인 자제는 물론이고 연해주 지역의 학생들까지 몰려왔다.
1929년 11월 국내에서 광주 학생 운동이 일어나자 은진중학교 학생들은 1930년 1월 23일 북간도의 다른 학교 학생들과 일본 영사관 앞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1932년 일제가 괴뢰 만주국을 세워 북간도의 한인들을 탄압했지만, 은진중학교는 캐나다 선교사들이 설립한 학교였기에 큰 타격을 받지 않았다.
하지만 만주국 당국은 1936년 강압적으로 은진중학교를 공과(工科) 학교로 개편하였고 1938년에는 이를 공과 중학교로 변경하였다. 1942년 은진중학교는 간도성립 제3 국민고등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45년 8월 광복 후 다시 은진중학교라는 이름을 회복하였다. 1946년 9월 용정의 5개 중학교들과 통합되어 용정 중학교가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