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吉林 農民 互助社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사회단체 |
|---|---|
| 설립 시기/일시 | 1927년 4월 1일 |
| 최초 설립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1927년 4월 남만주로 이주한 한인들의 산업 부흥 등 생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결성된 단체.
길림 농민 호조사는 발기회 취지문에서 생산의 증가, 교육발전, 위생과 보건 개선 등의 실천을 천명하였다. 그리고 길림 농민 호조사 약속을 제정해 입회금, 출자금 등의 액수를 정하고 운용 방법 등을 피력하였다.
그에 의하면 입회금 1월을 납부하고 입회한 사원은 다시 자신의 능력에 따라 일정액을 출자하여 대규모 토지를 구입한 후, 공동 경작하여 잉여금을 출자액에 비례하여 분배해 갖는다는 것이었다. 이 단체는 안창호와 남만의 한인들이 상당한 기대를 갖고 시작했지만, 그 시기 만주의 민족 운동 단체들이 추진한 민족 유일당 운동과 겹쳐 큰 성과를 이루지는 못했다.
길림 농민 호조사의 활동은 일제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망명한 백성이었지만 생존의 의지를 불태운 한민족의 민족성을 보여준다. 이 단체 구성원들의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민족 생존 방법이 곧 조국 독립의 원천이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