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國民府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 지역 | 요령성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민족주의운동 단체 |
|---|---|
| 설립자 | 현익철 등 |
| 설립 시기/일시 | 1929년 4월 1일 |
| 개칭 시기/일시 | 1934년 11월 11일 |
| 최초 설립지 | 길림 |
1929년 4월에 결성된 남만주 지역의 대표적인 민족주의 운동 단체.
국민부는 결성 당시 아래와 같은 강령을 내걸었다.
1. 전 민족의 혁명 역량을 민족 유일당에 총 집중한다.
2. 교거(僑居) 동포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통일적 자치 기관을 실현한다.
3. 민족 유일당과 자치 기관의 조직 과정에서 당면 전투·공안 보장을 담임한다.
국민부는 민족 유일당 결성 운동을 벌일 당시 협의회파에 참가한 정의부 다수파 등 민족주의자들이 1929년 4월 길림에서 조직한 단체이다. 국민부는 창립 당시 중앙 집행위원장에 현익철(玄益哲)을 선출하고 23명의 중앙 집행위원도 임명하였다. 군사부장인 이웅(李雄)이 조선 혁명군 사령관을 겸하였다. 본부도 길림에서 흥경으로 옮겼다.
1929년 9월 20일 제1회 중앙 위원회에서 강령을 개정하여 혁명[독립]의 임무를 삭제하였다. 혁명 임무는 1929년 12월에 결성된 조선 혁명당이 담당하였다. 중앙 위원회는 선언문과 헌장도 채택하였다.
1929년 10월 조선 혁명군이 국민부에 반대하는 남만 한인 청년 총동맹의 간부 6명을 죽이는 남만 참변을 일으킨 이후, 국민부를 반대하는 좌파 조직인 타도 제국주의 동맹 등이 조직되면서 국민부는 좌우 대립으로 분열 양상을 보였다.
국민부는 1929년 12월 혁명[독립]과 자치 기관을 분리하여 조선 혁명당을 결성하고 이당치국(以黨治國)의 원칙에 따라 자치 행정만을 전담하게 되었다. 조선 혁명군에 대한 지휘권도 조선 혁명당으로 넘겨졌다. 이로써 국민부, 조선 혁명당, 조선 혁명군 사이에 역할 분담이 이루어지면서 당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이당치국 체제가 갖추어졌다.
1931년 9월 일본이 만주를 침략하자 국민부 요인들은 1932년 1월 조선 혁명당이 주최하는 중앙 위원회에 참석하여 대응 방안을 논의하였다. 이때 1932년 1월 20일경 일본 경찰이 중앙 위원회를 기습하여 19명의 간부가 체포되는 불운을 겪기도 하였다.
1934년 11월 11일 국민부는 조선 혁명당의 지도 아래 군민(軍民) 대표 대회를 열고 국민부의 이름을 취소하고 행정 조직과 군사 조직을 통합한 조선 혁명군정부를 조직하였다.
만주국 설립 이후 조선 혁명군을 중심으로 무장 활동이 전개되자 국민부는 이들을 지원하는 활동을 벌였다. 조선 혁명군은 단독으로 일본과 만주국의 군 또는 경찰과 싸우거나, 중국인 항일 부대와 연합하여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다. 중국인 항일 부대와 연합하여 싸운 전투로 영릉가 전투(永陵街戰鬪)·흥경성 전투(興京城戰鬪)·노구대 전투(老溝臺戰鬪)를 들 수 있다.
국민부는 친일파의 활동을 좌시하지 않았다. 1929년 10월 통화현에 있던 선민부의 본부를 기습하여 친일파를 사살하고 본부 조직을 와해시켰다. 중국 국민당의 협력을 얻어 한인 사회주의자와의 대결도 주저하지 않았다.
국민부는 농민 계몽을 위해 『농민 독본』을 편찬하고 매월 1회의 통신 교육과 순회 문고도 운영하였다. 출판 활동의 경우, 조선 혁명당은 1930년 4월 기관지로 『조선혁명』을 창간하였고 남만 학원(南滿學院)은 『봉화(烽火)』를 간행하였다.
국민부는 한인 자제들의 교육에 특별한 노력을 기울여 마을에 소학교나 서당 등을 세웠다. 신빈현(新賓縣) 왕청문(汪淸門)에 화흥 중학교(化興中學校)를 세웠으며, 중학교 안에는 남만 학원이란 학교를 세워 청년 인재를 집중 육성하기도 하였다.
국민부는 신빈현 홍묘자(紅廟子)에 상점을 차리고 경비를 마련하는 한편, 연락 거점으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통하(通河)현에는 서북하 농장을 설립하여 경제 기반을 마련하려고 노력하였다. 농장은 일본이 만주를 침략한 이후 피신한 활동가들의 은신처이자 활동 근거지가 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국민부의 활동 자금은 재만 한인들로부터 징수하는 의무금에 더 의존하였다. 일본이 만주를 침략하면서 경제가 더 어려워지는 가운데 의무금을 낼 수 없는 사람도 더욱 늘어갔다. 국민부는 이들에 대해서까지 완력으로 의무금을 징수하는 등 통치식 행위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