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효 공주 묘비

한자 貞孝 公主 墓碑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용수진 용해촌 용두산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상세정보
성격 묘지명
관련인물 정효 공주
재질 화강암
크기(높이 105㎝
너비 58㎝
두께) 26㎝
건립 시기/일시 792년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0년 10∼12월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758년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792년 4월 14일
현 소재지 연길시
원소재지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용수향 용해촌 용두산
정의

발해 3대 문왕의 제4녀 정효 공주의 일생을 적어 무덤 안에 함께 묻은 묘지석.

개설

정효 공주 묘비는 화강암 재질의 규형(圭形)을 띠고 있으며, 총 728자가 새겨져 있다. 서문에는 공주의 출생부터 죽음까지 생애를 기록하고, 명문에는 공주에 대한 칭송과 애도의 글을 적었다. 문왕의 연호 사용과 발해의 장례 풍습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건립 경위

정효 공주 묘비에 의하면, 공주는 대흥 56년[792] 4월 14일에 36세의 나이로 사망하자, 시호를 정효 공주라 하였다. 그리고 그해 11월 28일에 염곡(染谷)의 서쪽 평원에 있는 남편 무덤에 배장하였다.

위치

정효 공주 묘비는 원래 정효 공주 묘에 있었는데, 현재 중국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정효 공주 묘비는 1980년 정효 공주 무덤 발굴 때에 무덤 안길 뒤쪽에 세워진 채 발견되었다. 묘비는 정혜 공주 묘지석과 마찬가지로 화강암 재질의 규형(圭形)을 띠고 있다. 높이 105㎝, 너비 58㎝, 두께 26㎝이다. 정면에 18행 728자가 해서체로 선명하게 음각되어 있어 모두 판독할 수 있다. 묘지석의 둘레에는 두 줄의 선을 음각하여 경계를 만들었고, 윗부분에도 선을 음각하였다.

금석문

정효 공주 묘비는 전형적인 변려문(騈儷文)으로 서문(序文) 4단락 12행과 명문(銘文) 6행, 건립일자 1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의 첫째 단락은 부녀자의 덕을 중국 고사에서 빌려와 전체 문장을 이끌고, 둘째 단락은 공주의 조상과 부왕이 세운 위대한 업적을 찬양하여 공주가 고귀한 출신임을 밝혔다. 셋째 단락은 공주가 태어나고 시집가서 남편과 아이를 먼저 보내고 수절하다가 세상을 떠난 생애를 그렸고, 넷째 단락은 공주의 장례식을 적어 놓았다. 그리고 서문을 줄여서 운문으로 표현한 명문의 1행은 출신, 2행은 지혜로움과 아름다움, 3행은 출가, 4행은 수절, 5행은 장례, 6행은 애도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문장이 정혜 공주 묘지명과 거의 같은 점으로 보아 당시에 문적원(文籍院)에서 원본을 작성해 두었다가 개인적 신상에 관한 부분만 수정하여 묘지명을 만들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황

정효 공주 묘비는 2012년 현재, 중국길림성 연변자치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정효 공주 묘비는 정혜 공주 묘지명과 함께 발해사의 귀중한 사료이다. 먼저 문왕의 존호가 ‘대흥 보력 금륜성법대왕(大興寶曆金輪聖法大王)’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그가 즉위 시에 대흥이란 연호를 사용하다가 중간에 보력으로 개원하였다가 다시 말년에 대흥으로 복귀하였다는 사실은 문왕대의 정치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실이다.

또한 묘지명에서 문왕을 ‘황상(皇上)’으로 표현한 점은 당시 그가 황제적 지위를 누리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묘비에는 유교 경전을 비롯한 중국의 고사들이 폭넓게 인용되어 당시 발해의 유교문화 수준이 상당하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문왕의 존호 가운데 ‘금륜성법’은 불교적 용어로서 문왕이 전륜성왕(轉輪聖王)을 표방하였던 사실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 한국고대사회연구소, 『역주 한국 고대 금석문』 3 (가락국 사적 개발 연구원, 1992)
  • 한국 역사 연구회 고대사 분과, 『고대로부터의 통신』(푸른 역사, 2004)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