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貞孝 公主 墓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능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용수진 용해촌 용두산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무덤 |
|---|---|
| 양식 | 돌방무덤 |
| 관련인물 | 문왕|정혜 공주 |
| 문물|보호단위등급 |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
| 조성 시기/일시 | 792년 |
|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 758년 |
|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 792년 6월 9일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0년 10∼12월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1년 5∼6월 |
| 문물 지정 일시 | 1986년 |
| 현 소재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용수향 용해촌 용두산 |
| 원소재재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용수향 용해촌 용두산 |
| 출토 유물 소장처 | 연길시 |
정효 공주 묘는 공주가 죽자 조성하기 시작하여 같은 해인 792년에 시신을 안치하였다. 이후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무덤 위에 탑을 세우고 별도로 승려들이 거처할 수 있는 사원을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정효 공주 묘는 무덤칸·무덤 안길·무덤문·무덤 바깥길로 이루어져 있다. 무덤은 동서 길이 약 7m, 남북 너비 약 15m이다. 한편 무덤 위에는 벽돌로 쌓은 정방형의 탑 터가 발견되었다. 탑 기초는 남북 5.65m, 동서 너비 5.5m이다. 무덤 앞에는 무덤을 지키던 승려들이 살던 건물터가 있고, 산 아래에는 절터가 남아 있다.
탑 아래 지하에는 무덤칸이 있다. 무덤 바깥길을 따라 내려간 곳에 만들어진 무덤칸은 벽돌과 돌로 쌓았다. 무덤 양식은 기본적으로 중국식이지만, 사방을 평행 고임한 뒤 그 위에 큰 판석을 덮는 천장 양식은 고구려 양식을 계승하였다.
무덤 안길과 무덤칸의 동·서·북벽에는 무사(武士)·시위(侍衛)·내시(內侍)·악사(樂師) 등 12명의 인물이 그려져 있다. 이들은 대체로 뺨이 둥글고 얼굴이 통통한 편으로 당나라의 화풍을 따르고 있다.
정효 공주 묘 내부에서 묘지명이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