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貞惠 公主 墓碑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비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비 |
|---|---|
| 양식 | 규형(圭形)·해서(楷書) 정자로 음각 |
| 관련인물 | 문왕|정혜 공주 |
| 재질 | 화강암 |
| 크기(높이 | 90.0㎝ |
| 너비 | 49.0㎝ |
| 두께) | 29.0㎝ |
| 건립 시기/일시 | 780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49년 9월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53년~1957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59년 8월 |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737년 |
|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 777년 4월 14일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49년 8월 |
| 현 소재지 | 중국 길림성 장춘시 길림성 박물관 |
| 원 소재지 | 중국 길림성 돈화시 강동향 승리촌 육정 산고분군 |
길림성(吉林省) 돈화시(敦化市)의 육정산 고분군(六頂山古墳群)에서 발견된 발해(渤海) 제3대 문왕(文王)의 둘째 딸인 정혜 공주의 묘비.
정혜 공주 묘지명에 의하면 공주는 보력(寶曆) 4년(777) 4월 14일에 40세의 나이로 사망했고, 시호를 정혜 공주라 하였다. 그로부터 3년 뒤인 보력 7년 11월 24일에 진릉(珍陵)의 서쪽 평원에 있는 남편 무덤에 배장하였다.
정혜 공주 무덤의 용도(甬道)[무덤 안길]에서 발견되었으며 현재 중국길림성 장춘시(長春市)길림성 박물관(吉林省博物館)에 소장되어 있다.
묘비는 1949년 정혜 공주 무덤을 발굴할 당시 무덤 안길에서 7조각으로 깨진 채 발견되었다. 묘비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위가 뾰족하고 아래는 네모진 규형(圭形)이다. 크기는 높이 90㎝, 너비 49㎝, 두께 29㎝이다. 앞면에는 해서체(楷書體)로 묘지명을 음각하였다. 전체 725자 가운데 491자는 판독하기 어려우나, 나중에 정효 공주 묘지명이 발견되어 보충할 수 있게 되었다. 비문 주위에는 당초문(唐草文)을 둘렀고 윗부분에는 구름무늬를 새겼다.
묘지명은 전형적인 변려문(騈儷文)[넉자와 여섯자로 이루어진 구절을 중심으로 대구법을 사용하는 화려한 문장]으로 서문(序文) 4단락 13행과 명문(銘文) 6행, 건립일자 1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의 첫째 단락은 부녀자의 덕을 이야기한 중국 고사를 빌려와 전체 글의 서두를 열었고, 둘째 단락에서는 공주의 조상과 부왕이 세운 위대한 업적을 찬양하여 공주가 고귀한 출신임을 밝혔다. 셋째 단락에서는 공주가 태어나고 시집가서 남편과 아이를 먼저 보내고 수절하다가 세상을 떠난 생애를 그렸고, 넷째 단락에는 공주의 장례식을 적어 놓았다. 그리고 서문을 줄여서 운문으로 표현한 명문은 1행 출신, 2행 지혜로움과 아름다움, 3행 출가, 4행 수절, 5행 장례, 6행 애도문으로 구성하였다.
현재 중국길림성 장춘시 길림성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묘지명은 문헌 기록에 없는 중요한 사실들을 전한다. 첫째, 문왕의 존호가 대흥 보력 효감 □□□법대왕(大興寶曆孝感□□□法大王)인 점, 둘째, 문왕이 대흥 38년(774)에 보력(寶曆)으로 개원(改元)한 점, 셋째 정혜 공주가 배장된 진릉(珍陵)은 무왕(武王)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점, 넷째, 공주는 보력 4년(777)에 사망하여 보력 7년(780)에 매장되었으므로 3년상을 치렀다는 점. 다섯째, 묘지명의 공주(公主), 동궁(東宮), 능(陵) 등의 표현 등을 통해 발해가 외명부제(外命婦制), 동궁제(東宮制), 능묘제(陵墓制) 등을 시행했음을 알 수 있다는 점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