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貞惠 公主 墓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능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 강동향 승리촌 육정산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무덤 |
|---|---|
| 양식 | 석실봉토분 |
| 관련인물 | 문왕|정효 공주 |
| 문물|보호단위등급 |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
| 조성 시기/일시 | 780년 |
|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 738년 |
|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 777년 4월 14일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49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59년 |
| 개축 시기/일시 | 1949년 |
| 문물 지정 일시 | 1961년 3월 14일 |
| 현 소재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 강동향 승리촌 육정산 고분군 |
| 원소재재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 강동향 승리촌 육정산 고분군 |
| 출토 유물 소장처 | 길림성 장춘시 |
육정산 제1 고분군의 중앙에 위치한 정혜 공주 묘는 흙무지 돌방무덤[석실 봉토분]이다. 구릉 형태의 봉토 높이는 1.5m이다. 무덤 앞에는 벽돌이 깔려 있는 무덤길이 있고, 여기서 널길을 통하여 무덤 안으로 들어가게 되어 있다.
지하에 위치한 묘실은 정방형인데, 동서 길이는 2.66∼2.84m, 남북 너비는 2.80∼2.94m, 높이는 2.68m이다. 네 벽은 13개의 큰 판돌로 1∼2단의 평행 고임을 하고 그 위에 다시 2단 정도의 삼각 고임을 하였고, 복판에 그 마감으로 천정돌을 덮었다.
정혜 공주 묘 내부에서 묘지명이 발견되었다.
육정산 서남쪽에 위치한 육정산 고분군은 6개 봉우리 중 주봉인 서쪽에서 두 번째 봉우리의 남쪽 기슭에 모여 있다. 서쪽의 것이 제1 고분군, 동쪽의 것이 제2 고분군이다. 제2 고분군에는 50여 기의 무덤이 발견되었는데, 신분이 낮은 사람들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제1 고분군에는 30여 기의 무덤이 발견되었는데, 대부분 대형 고분에 속하는 것으로서 왕족 또는 상위 귀족들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육정산 고분군은 1961년에 전국 중점 문물 보호 단위로 지정되어 지금은 중앙 정부의 허락을 받아야만 발굴할 수 있다. 이 고분군은 처음 발견된 1949년 이래 여러 차례 추가 조사가 진행되었다. 더구나 1964년 5∼6월에는 북한과 중국 학자들이 공동으로 발굴 조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