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安田 古城堡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 백초구진 신화려촌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산성 |
|---|---|
| 양식 | 보루 |
| 둘레) | 64m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53년 |
| 현 소재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 백초구향 안전촌 신화려둔N : 43°14'5"E : 129°35'41" |
| 출토 유물 소장처 | 연길시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왕청현(汪淸縣) 백초구향(百草溝鎭) 안전촌(安田村) 신화려둔(新華閭屯)에 있는 발해 시대의 산성 보루.
안전 고성보는 왕청현 백초구향 안전촌 신화려둔 서쪽 1㎞ 지점의 산 정상부에 위치해 있는 보루로, 잡석을 이용하여 성벽을 축조하였다. 둘레는 64m로 소규모 산성이다.
안전 고성보는 과거 성 안에서 채집된 유물과 주변 유적 분포 현황을 놓고 볼 때, 발해 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안전 고성보는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 백초구향 안전촌 신화려둔 서쪽 1㎞ 지점의 산 정상부에 위치한다. 산성이 위치한 곳의 지세는 매우 험준한 편으로, 산의 높이가 60~70m에 달한다. 산성 아래로는 왕청-연길(延吉) 간 도로가 지나간다.
고성 보루는 1953년 길림성 박물관에서 백초구 유적(百草溝遺蹟)을 발굴 조사하면서 확인되었다. 인근의 신화려둔에서도 신화려 고성이 확인된 바 있다. 산성은 매우 험준한 곳에 위치해 있는데, 성의 남쪽 편에는 채석장이 있다. 정상부와 보루 주변은 잡석더미로 뒤덮여 있다. 보루의 석축 기초 부분이 그나마 잘 남아 있어 축성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