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城門山 山城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석문진 무학촌 1대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성곽 |
|---|---|
| 양식 | 포곡식 산성 |
| 둘레) | 2.5㎞ |
| 현 소재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석문진 무학촌 1대N : 42°59'18"E : 128°54'49"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안도현(安圖縣) 석문진(石門鎭) 무학촌(舞鶴村)에 있는 발해 시대의 산성.
성문산 산성은 무학동에서 남쪽으로 3㎞ 떨어진 성문산에 위치해 있다. 산성은 고대로부터 교통의 중심지였던 곳에 위치해 있는데, 성 주변으로는 해발 600~900m의 산들이 이어지고 있고, 동남쪽으로 4㎞ 떨어진 곳에는 천보산(天寶山) TV 중계탑이 있다. 성 동쪽에는 남북 방향의 황노모자구(黃老毛子溝)라 불리는 긴 계곡이 있으며, 계곡물은 남쪽에서 북쪽 방향으로 흐른다. 계곡을 따라 북쪽으로 가면 다조구(茶條溝)와 명월진(明月鎭)이 나타나고, 남쪽으로 향하면 선인동(神仙洞), 천보산(天寶山)과 장인(長仁), 두도구(頭道溝)가 있다. 북쪽으로 아파구(啞巴溝), 순구(順溝)를 따라가면 복흥(福興) 일대로 통한다.
성문산 산성의 평면 형태는 대략 타원형으로, 험준한 자연 산세를 이용하여 축조하였다. 성 내부는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으며, 동서 방향으로 계곡이 있다. 성벽은 가파른 산등성이나 깎아지른 절벽을 이용하였는데, 전체 둘레는 약 2.5㎞ 이다. 서쪽에는 높은 산봉우리가 있는데, 해발 900m에 달한다. 동북부에는 40m 너비의 계곡 입구가 있는데, 석축 성벽으로 가로막았다. 석축 성벽은 너비가 8m이며, 높이는 3m가량이다. 성벽의 양 끝부분에는 통로가 있는데, 북측은 물이 흘러내려갈 수 있도록 한 수구(水溝)이고 남측은 너비가 4m가량인 문지이다.
성 내부의 중심에서 북쪽으로 치우친 곳에는 흙으로 벽을 쌓은 2개의 건물지가 확인된다. 그 중 하나는 동향으로 남북 길이는 40m, 동서 폭은 10m이며, 동, 남, 북의 세 면이 토축담으로 되어 있고 흙벽의 너비는 3m, 높이는 1.5m이다. 서편에는 흙벽이 확인되지 않는다. 동쪽 흙벽에는 문지가 2개소 확인되는데, 문지 간의 거리는 15m이며, 각 문의 너비는 1.5m이다. 흙벽 내에는 초석으로 추정되는 큰 동리 7~8개가 보인다. 건물지에서 동쪽으로 10m 떨어진 지점에는 방형의 수혈 건물지가 있다. 한편 두 번째 건물지는 남향으로 동서 길이 20m, 남북 너비 9m이며, 동, 서, 남의 세 면이 토축벽으로 되어 있다. 북벽은 흙벽이 확인되지 않는다. 문지는 남벽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2012년 현재, 성문산 산성 안팎으로 나무가 빽빽이 들어차 있으며 유물은 수습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