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碧水 遺蹟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도문시 홍광향 벽수촌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유지 |
|---|---|
| 길이 | 남북 40m |
| 너비 | 동서 50m |
| 면적 | 2,000㎡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5년 4월 |
| 현 소재지 | 길림성 도문시 홍광향 벽수촌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도문시(圖們市) 홍광향(紅光鄕) 벽수촌(碧水村)에 있는 발해 시대의 유적.
벽수 유적은 길림성 도문시 홍광향 벽수촌 4대에 위치하고 있어서 벽수 4대 유적이라고도 한다. 경작지로 개간되었으나, 지면에 흩어져 있는 도기 잔편들은 인근에 위치한 기신 6대 발해 유적에서 수습된 것들과 유사하다.
벽수 유적은 1985년 4월 도문시 문물지 편찬위원회에서 발견한 유적으로 규모는 남북 40m, 동서 50m에 달한다. 발견 당시 이미 경작지로 사용되고 있었으나, 지면에는 수많은 도기 잔편이 흩어져 있다. 그중에서 특징적인 유물로는 도기 구연 1점과 도기 잔편 2점이다. 도기 구연은 붉은색을 띠고 있는 니질도로 소성도가 비교적 높으며, 물레로 빚었다. 주둥이는 원순(圓脣)에 가깝다. 도기 잔편 2점에는 격자무늬가 있는 것과 덧띠무늬에 사선무늬가 있는 것이 있다. 이것은 기신 6대 유적에서 출토된 것과 색깔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동일하다.
1985년 처음으로 학계에 보고된 곳으로 이미 경작지로 변하여 유적의 전모를 밝히는 데 어려움이 많은 유적이다. 기신 6대 유적과 함께 비교 연구가 필요한 유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