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東清 古墳群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영경향 동청촌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무덤 |
|---|---|
| 크기(높이 | 1m |
| 지름) | 6m |
| 길이 | 남북 25m |
| 너비 | 동서 50m |
| 면적 | 1,250㎡ |
| 소재지 | 길림성 안도현 영경향 동청촌 북쪽 1.25㎞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영경향(永慶鄕) 동청촌(東淸村)에 위치한 발해 시대 무덤 유적.
동청 고분군은 규모는 남북 25m, 동서 50m이며, 무덤 윗부분은 봉분이 남아 있지 않고 돌무더기만 보인다. 현재 농경지로 개간되었다.
동청 고분군은 안도현 영경향 동청촌 북쪽 1.25㎞에 위치하며, 동쪽과 북쪽이 산등성이가 감싸고 있고, 서쪽에는 남북향의 도로와 인접해 있다. 또한 남쪽은 동서향의 하곡과 인접해 있다.
동청 고분군의 분포 면적은 남북 25m, 동서 50m이며 현재 농경지로 개간되었다. 무덤 윗부분에 봉분은 없고, 돌무더기만 보이는 무덤 7기가 보인다. 파헤쳐진 무덤으로 보면 묘벽은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돌로 쌓아 올렸고, 묘실 천정은 커다란 판석으로 덮었다. 서남쪽에서 가장 큰 무덤은 지름이 6m, 높이 1m이고, 동남쪽에 있는 무덤은 그 다음으로 지름 4m, 높이 0.8m이다. 서북쪽에는 동서향으로 무덤 3기가 나란히 있고, 동북쪽에는 이미 파헤쳐진 무덤 2기가 있다.
지표면에서는 물레로 빚은 니질도기편 약간이 수습되었다. 그 중 한 점은 기벽이 0.5㎝에 달하는 황갈색을 띤 염구사순관(斂口斜脣罐) 잔편이고, 다른 한 점은 황갈색을 띤 평저사호벽관저(平底斜壺壁罐底) 잔편이다. 또 다른 한편은 갈색을 띤 베무늬와 광택이 있는 도기편이다. 이 밖에 청색 벽돌 잔편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