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島興 遺蹟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복흥향 도흥촌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유지 |
|---|---|
| 길이 | 남북 100~150m |
| 너비 | 동서 1㎞ |
| 면적 | 100,000~150,000㎡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5년 |
| 현 소재지 | 길림성 안도현 복흥향 도흥촌 |
길림성 안도현 복흥향 도흥촌 북쪽 산기슭에 있는 발해 유적.
도흥 유적의 규모는 동서 1㎞, 남북 100~150m에 달하며, 유적 중간 부분에는 산기슭을 따라 남쪽으로 뻗어 나온 높이가 약 3m에 달하는 봉화대로 생각되는 유적이 있다. 유적 지표면에는 발해·요·금 시대의 벽돌·기와·도기 조각이 많이 흩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 자재들도 확인된다. 특히 유적 동쪽에 비교적 많이 분포하며, 꽃무늬가 수놓인 화문전·연꽃무늬와당, 기와 끝부분에 수가 놓아져 있는 화문와·니질의 협사 갈도·수면 와당·새끼줄 무늬 와당·도기 구연·주둥이가 벌어지고 입술 부분이 둥근 배가 불룩한 항아리인 치구원순고복관·건축 재료 등이 발견되었다.
2006년 4월 현재 이미 경작지로 변했으며, 남쪽으로 비스듬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산사면과 경작지인 밭 사이에는 동서로 뻗은 농로가 있고, 그 남쪽은 농경지에는 초엽 무늬가 있는 기와편, 연꽃무늬가 있는 와당, 수키와 잔편 등이 널려 있어 이곳에 유적지가 있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