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평 산성

한자 農坪 山城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마적달향 마적달 5대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상세정보
성격 성곽
양식 석축 산성
둘레) 400m
조성|건립 시기/일시 발해 시대
현 소재지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마적달향 마적달5대 N : 42°56'33"E : 130°47'28"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혼춘시(琿春市) 마적달향(馬滴達鄕) 농평촌(農坪村)에 있는 발해 산성.

개설

농평 산성은 혼춘시 마적달향 농평촌 야산에 위치하며, 발해의 보루로 추정되는 석축 산성이다.

건립 경위

유물이 출토되지는 않았지만 산성의 입지 등으로 미루어볼 때, 발해 시대에 건립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위치

농평 산성은 농평촌의 동북쪽에서 동쪽으로 뻗어나간 작은 산맥의 끝에 위치한 산비탈 형태의 산 정상부에 있다. 농평촌은 혼춘시 마적달향 소재지에서 서북쪽으로 약 2㎞ 떨어져 있는 마을이다. 산 정상부는 지면에서 약 20m 정도 높이에 있는데, 동·남·서 세 면은 가파른 비탈이지만, 북쪽은 배후 야산으로 연결되어 있다. 성 동쪽으로는 작은 하천이 흐르고, 남쪽은 혼춘하(琿春河)를 사이에 두고 도원동(桃源洞) 남산성(南山城)과 비스듬히 마주보고 있다.

형태

농평 산성의 평면 형태는 타원형으로, 전체 길이는 약 400m이다. 성벽은 돌로 쌓았으며, 기저부 폭은 약 5m, 잔고는 1m이다. 성문 터는 2곳으로, 성벽의 서북쪽과 동북쪽에 남아 있는데, 그 너비는 3m이다.

북벽 외곽에는 3중으로 된 차단벽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데, 높이는 1~2.5m로 일정하지 않으며, 그 간격은 4~6m이다. 서북부 성문 터 서쪽으로부터 동북으로 굽었다가 다시 동남으로 향하여 성 북반부를 둘러싸고 있다.

한편 성 내부에는 두 개의 하천이 지나가고 있으며, 하천의 폭은 2.5m, 깊이는 2m가량이다.

현황

농평 산성의 지형은 동쪽이 낮은데, 경작지로 활용되고 있다. 산성 내부에서 회색 니질 토기 조각과 흑갈색 토기 조각들이 관찰되지만, 유물은 매우 적은 편이다.

의의와 평가

농평 산성혼춘하(琿春河) 북쪽의 야산에 축조되어 있는데, 혼춘하 남쪽의 도원동(桃源洞) 남산성(南山城)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축성된 것으로 보인다. 두 산성은 혼춘하를 이용한 물자 수송 등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축조된 것으로 판단된다. 규모와 형태 및 시설이 간단한 것으로 미루어볼 때, 발해 시대의 보루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吉林省文物志編委會, 『琿春縣文物志』(1984)
  • 方學鳳, 『渤海城郭』(延邊人民出版社, 2001)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