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구 유적

한자 鏡溝 遺蹟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 대포시하진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상세정보
성격 주거지
길이 남북 길이 250m
너비 동서 길이 500m
면적 125,000㎡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58년 8월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60년 6월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3년 5월
현 소재지 돈화시 대포시하진 소재지 동쪽 5㎞
원소재지 돈화시 대포시하진 소재지 동쪽 5㎞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돈화시(敦化市) 대포시하진(大蒲柴河鎭)에 있는 발해 시대의 주거 유적.

개설

경구 유적은 돈화시 대포시하진에 위치하며, 발해 시대부터 요·금 시대까지 사용한 주거 유적이다.

위치

경구 유적은 돈화시 대포시하진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5㎞ 떨어진 곳에 있으며, 부이하(富爾河)와 북쪽의 산으로 감싸인 곳 중간에 위치한다. 서남쪽에는 경구라고 부르는 작은 계곡이 있어 이 이름이 붙여졌다. 부이하 남안은 산자락으로 이어져 있고, 북안은 넓게 트인 충적 평원으로 북안의 산까지의 거리는 약 1.5㎞이다. 돈화에서 안도(安圖)로 향하는 G102 도로가 유적지 북쪽을 지난다.

형태

경구 유적에 대한 조사는 1958년 8월[연변 문물보사대]과 1960년, 1983년 5월[돈화현 문물소] 등 세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유적의 규모는 남북 길이 250m, 동서 길이 500m에 달하며, 50㎝ 두께의 문화층이 1.5m 깊이에 있다. 지표면에는 흑회색·홍회색 도기잔편, 베무늬가 있는 암키와 잔편, 돌절구와 구덩이 등이 흩어져 있다. 종종 흰색의 깨진 자기편이 약간 보이기도 한다. 유적지 동쪽에 있는 개울 동편에서 주거지도 발견되었다.

현황

2013년 현재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나 관리 강화가 필요한 상태이다.

의의와 평가

경구 유적은 출토된 도기편과 베무늬 기와편 등을 볼 때, 상층에 약간의 요·금 시대 유물이 포함된 발해 시대의 주거지로서, 요·금 시대까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吉林省文物志編委會, 『敦化縣文物志』(1985)
  • 김진광, 『북국 발해 탐험』(박문사, 2012)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