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불지산

한자 天佛指山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용정시(龍井市) 삼합진(三合鎭)에 있는 산.

개설

천불지산은 길림성 동부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경내의 남강산맥에 위치하며 삼합진 소재지 동북쪽 13.8㎞ 부근에 있다. 최고봉의 해발은 1266.1m이다. 천불지산을 중심으로 주변 지역은 천불지산 국가급 자연보호구로 지정되어 있으며 중국 최대의 희귀 식용균류 자연보호구이다. 보호구 유형은 자연 생태계통 유형과 야생 생물 유형에 속하며, 보호 대상은 북온대 산림 계통 중 특유의 적송-몽고력(蒙古櫟) 산림 생태 계통이다.

보호구의 동부와 남부는 북한과 강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으며, 북부는 용정시 덕신향(德新鄕)과 개산둔진(開山屯鎭)과 인접하고 서부는 화룡시(和龍市)와 인접해 있다. 행정 범위는 용정시 지신진(智新鎭), 삼합진, 백금향(白金鄕), 개산둔진의 일부를 포함하며 총 면적은 77만 317㏊이고, 송이의 생장 분포 범위의 면적은 3만 2000㏊이다.

명칭 유래

부처님이 성지를 받고 이곳에 내려왔다고 하여 천불지산이라는 명칭이 유래되었다.

자연환경

천불지산의 기후는 온대 대륙성 반습윤 계절풍 기후로 봄에 건조하고 바람이 많으며, 여름에 덥고 비가 많다. 가을은 맑고 푸르며, 겨울은 춥고 눈이 적다. 무상일수는 120일 정도이고 연 평균 기온은 5.2℃이다. 최고 기온은 36.5℃, 최저 기온은 -34.8℃이다. 연 강수량은 550~700㎜이다. 천불지산은 해발이 높고 골짜기가 깊으며 경사가 급하다. 토양의 모암은 화강암과 사암(砂巖), 엽암(葉巖) 풍화물이며 주요 토양 유형은 산성암(酸性巖) 삼림회종양(森林灰棕壤)이다. 산성은 적송이 생장하기에 좋은 환경이므로 송이의 주요 산지이다.

현황

천불지산 자연보호구는 1996년에 길림성 인민 정부로부터 성급 자연보호구로 지정되었으며 2002년에 국무원의 동의를 걸쳐 천불지산 국가급 자연보호구로 지정되었다. 이 보호구는 중국 최대의 희귀 식용균류 자연보호구이다. 보호구 내에는 식물 85과 416종이 있고, 조류가 86종, 파행류와 양서류 등이 12종 있다. 그 중 중국 중점 보호종이 21종에 달한다.

참고문헌
  • 吉林天佛指山自然保护区总体规划(吉林省林业勘察设计研究院, 2000)
  • 百度百科(www.baike.baidu.com)
  • 谷歌地球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