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란 유래」

한자 依蘭 由來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지명 유래
주요등장인물 총각|소녀
모티프유형 지명 유래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0년
관련 지명 연길 분지 북쪽, 도문과 용정, 왕청 접경지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 북쪽에 위치한 의란 지역의 유래에 대한 설화.

개설

연길 부근에 위치한 의란이란 지역의 이름이 생기된 전설적 이야기이다.

채록/수집 상황

1990년, 김태갑 편, 북경 민족 출판사에서 펴낸 『조선족 전설집』에 「의란의 유래」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었다.

내용

먼 옛날 조실부모하고 혼자몸으로 근근득식 생계를 유지해오던 한 떠꺼머리 총각이 산삼이 귀중함을 알게 되면서 산삼 한 뿌리를 캐여보려고 하였다. 어느날 어디 가게 되면 산삼이 있을 것이라는 소식을 접한 총각은 심산벽곡으로 산삼을 찾아 떠난다.

총각은 황홀한 광경이 있는 곳에 머물게 되는데 그만 거기에 도취되어 꿈나라로 들어간다. 총각은 꿈속에서 아름다운 소녀를 보게 된다. 총각은 소녀의 아름다운 자태에 매혹되어 이름이 머냐고 묻자 소녀는 성은 삼이요 이름은 산이라 했다. 그리고는 소녀가 아찔한 벼랑 아래에로 자취를 숨기려 하자 급해진 총각은 처녀의 머리채를 잡았다. 그런데 잡은 것은 그대로 산삼이였다.

돌아와 저울에 달아보니 한 냥이 실히 되는데 그 삼을 먹었더니 온몸에 힘이 샘솟 듯 했다. 총각은 앞 언덕에 달려가 넓은 벌판에 무쇠 같은 팔뚝을 깊숙이 밀어넣고 윽 소리치며 힘껏 벌렸다. 그랬더니 천지가 진동하며 땅이 쩍 갈라지면서 큰 골짜기가 하나 생겼다.

사람들은 이 골짜기를 산삼 한냥 먹고 만들어낸 골짜기라고 하여 한자로 “이량골” 이라 하였는데 후대 한국로 구전되면서 “의란골”로 굳어졌다.

모티프 분석

「의란 유래」의 주요 모티프는 지명 설화에 기초한 유래담이다.

참고문헌
  • 김태갑 편, 『조선족 전설집』(민족출판사, 1991)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