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반산」

한자 磨盤山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지명 유래
주요등장인물 늙은 농부
모티프유형 마반산 유래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0.
관련 지명 룡정시 동쪽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동쪽에 위치한 마반산의 유래를 설명하고 있는 지명 전설.

개설

해란강부르하통하와 합치면서 동하국 산성을 에돌아 북쪽 협곡으로 흘러가면서 동쪽으로 마주보는 산에 관한 설화이다.

채록/수집 상황

1990년에 김태갑이 북경 민족 출판사에서 펴낸 『조선족 전설집』에 「마반산」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었다.

내용

해란강평강벌과 세전이벌을 적시며 흘러내려 연길벌 동쪽을 에돌아 부르하통하와 합치면서 동하국 산성을 에돌아 북쪽 협곡으로 흘러간다. 이렇게 흘러가던 해란강이 다시 동쪽으로 굽이치는 대안에 웅위로운 산이 있는데 이 산을 마반산이라고 한다.

마반산에는 아래와 같은 이야기가 있다. 한인들이 이곳을 개척할 때였다. 그때 산성 북쪽에 부지런한 늙은 농부가 살았다. 농부는 비록 가난하나 마음은 비단같은 분이였다. 그는 농사를 짓는 한편 모래밭에 원두막을 지어놓고 참외와 수박을 심었다.

어느해, 삼복철 농부가 원두밭을 다룰 때 세인중이 냉수 한 그릇을 청하자 농부는 철철 넘치게 떠다가 세인중에게 드렸다. 세인중은 물맛이 천하제일이라 하면서 보답하는 뜻으로 참외밭에 가서 쌍둥이 참외를 가리키며 참외가 다 익은후 뜯어서 산 위의 반석을 올려다보아라 한다. 농부는 반석속에 무엇이 들어있을까 하는 생각에 견딜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익어가는 쌍둥 참외를 넝쿨에 붙은채로 들고 땅에 꿇어 엎드려 산 위의 반석을 올려다 보았다. 반석 속에 자그마한 금망아지 하나가 금매돌을 돌리고 있는데 금싸락이 해빛에 반짝이며 천석만석 쌓였다. 참외가 익어갈수록 반석속이 더욱 똑똑히 보이는데 자그마한 석마칸에 금못을 박은 문까지 볼수 있었다.

농부는 더 기다려내지 못하고 딴 생각을 품었다. 덜익은 참외를 뚝 딴 것이다. 그리하여 쌍둥 참외는 아주 썩어버리고 말았다. 그 후로 사람들은 이 이야기를 전하면서 금망아지가 금매돌을 돌린다는 이 반석을 매돌산이라고 했는데 한자로 번져서 마반산이라 불렀다.

참고문헌
  • 김태갑 편, 『조선족 전설집』(민족출판사, 1991)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