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좋은 鍾子 가려내세 |
|---|---|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 유형 |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가요 |
|---|---|
| 양식 | 통속 가요 |
| 작곡가 | 박우 |
| 작사자 | 김태희 |
| 창작|발표 시기/일시 | 1950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52년1954년 |
「좋은 종자 가려내세」는 곡이 아름다워 군중들에게 보급된 후, 농민들이 즐겨 불렀으며 무대 공연까지 하였다.
「좋은 종자 가려내세」는 신민요 풍격을 띠면서도 서양의 3/4인 원무곡 절주 형태를 이용하여 매우 소박하면서도 부르기 쉬운 한인[조선족] 선율의 음조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음역이 9도 밖에 안 되어 절주가 간단하고 음조가 매우 집중되었기에 민요처럼 한인[조선족] 여성들이 누구나 다 부를 줄 아는 노래가 되었다.
「좋은 종자 가려내세」는 생산 건설을 제재로 한 가요 가운데 성공한 작품 중의 하나이다. 농민들의 적극적인 생산 의욕을 노래하면서 행복한 생활을 지향하는 그들의 소박한 염원을 담고 있다. 노동 생산을 제재로 한 「좋은 종자 가려내세」는 한인[조선족]이 처음으로 전국 무대에 오른 작품 중 하나이며 중국 중앙 정부와 동포들의 높은 찬사를 받았다.
「좋은 종자 가려내세」는 1954년 중앙 문화부와 전국 문련에서 조직한 제1차 전국 가곡 평의에서 2등상을 수상하였다. 이는 중국 한인[조선족]과 연변 가무단이 제일 처음으로 수상한 국가급 영예였다. 1952년 전국 국제 대중 가요 콩쿠르 중 2등상을 수상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기 한인[조선족] 음악이 전국적인 콩쿠르에서 수상한 첫 작곡상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