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仁坪 遺蹟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마을 유적 |
|---|---|
| 크기 | 동서길이 400m, 남북길이 약 200m |
| 소유자 | 국유 |
| 관리자 | 연길시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0년대 |
| 현 소재지 | 연길시 장백향 인평 6대 |
| 원소재지 | 연길시 장백향 인평 6대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연길시(延吉市) 장백향(長白鄕) 인평촌(仁坪村) 6대에 있는 발해 시대의 마을 유적.
인평 유적은 1980년대에 연변 박물관과 관계 기관에서 발굴 조사하였다. 평탄하고 광활한 대지에 위치하였으며, 규모는 동서 길이가 400m이고, 남북 길이는 약 200m이다. 서쪽에 유물들이 비교적 집중되어 있고, 주로 발해 시대의 빗줄 무늬 판기와, 지압 무늬 기와 등이 출토되었다. 또한 내림새 무늬[滴水] 기와, 도자기 아가리 조각도 소량 나왔으나 벽돌 조각은 보이지 않았다. 빗줄 무늬 판기와는 회색을 띠고 있으며, 안에는 천무늬, 주위는 지압 무늬로 각각 장식했고, 기와 조각은 15㎝, 두께는 2㎝이다. 지압 무늬 기와는 회색을 띠며, 지압 무늬가 비교적 넓은데, 정면으로 보면 물결 무늬로 장식되어 있고 잔여 너비는 9㎝, 두께는 2㎝이다. 내림새 무늬[滴水] 기와는 회색이고, 안에는 국화꽃 무늬로 장식되어 있으며, 잔여 길이는 12㎝, 두께는 2.1㎝인데 돈화 강동 24개돌[敦化江東二十四個石]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과 비슷하다. 도자기 아가리 조각은 흙으로 빚었는데 회색을 띠고 있다. 아가리가 넓은 것과 아가리가 안쪽으로 들어간 두 종류가 있으며, 후자는 단지의 아가리 부분으로 추정된다.
인평 유적은 2011년 현재 대규모 주택이 들어서 있어 그 흔적을 찾아보기 어려우며, 출토된 유물도 유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