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龍曲 遺蹟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마을 유적 |
|---|---|
| 크기 | 동서길이 100m, 남북길이 200m |
| 소유자 | 국유 |
| 관리자 | 연길시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0년대 |
| 현 소재지 | 용정시 석정향 용곡촌 |
| 원소재지 | 용정시 석정향 용곡촌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용정시(龍井市) 석정향(石井鄕) 용곡촌(龍曲村)에 있는 발해 시대의 마을 유적.
1980년대에 연변 박물관과 관계 기관에서 용곡 유적의 지표와 문화층 단면에 대한 발굴을 시작하였다. 유물 분포 범위는 동서 길이 100m, 남북 길이 200m이다. 해란강에 쓸려나간 단면과 도랑의 단면을 보면 길이 40㎝~ 1m 사이에서 서로 다른 문화층을 확인할 수 있다. 문화층에는 회색층, 불에 태운 적색 토층과 유적, 조개 도구, 기와 조각, 도자기 조각들이 있었다. 이 밖에 돌로 지은 건물 터 흔적도 나왔다.
채집한 유물은 대부분 건축에 사용되는 기와와 생활 도구인 질그릇이었다. 기와에는 연꽃무늬 와당, 반 원통형 기와, 판 기와 등이 있다. 판 기와는 지압 무늬, 새김 무늬, 인(人)자 무늬 등 장식 무늬가 다양하며, 색깔은 회색이 많으나 회황색과 적색을 띤 기와 조각도 출토되었다. 질그릇은 흙으로 빚은 회색을 띤 것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독, 단지, 시루 등의 조각도 나왔는데, 무늬가 있는 조각이나 기둥 모양의 고리가 달린 것도 있다. 소량의 청자기도 출토되었는데 주로 회색이 많다.
용곡 유적과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발해 시대의 특징을 띠고 있으며, 당시의 마을 유적지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 유적은 발해 시대의 생활사 연구를 위한 중요 자료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