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太陽 古城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고성 |
|---|---|
| 양식 | 평지성 |
| 크기 | 둘레 361m |
| 소유자 | 국유 |
| 관리자 | 용정시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72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4년 |
| 현 소재지 | 용정시 도원향 태양촌 북쪽 |
| 원소재지 | 용정시 도원향 태양촌 북쪽 |
| 출토 유물 소장처 | 연길시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용정시(龍井市) 도원향(桃源鄕) 태양촌(太陽村)에 있는 발해 시대의 성터.
태양 고성은 1972년에 연변 박물관에서 조사하였다. 이때 연꽃무늬로 장식된 지압문 기와를 채집하였다. 1984년에는 연변 문물조사대가 다시 조사하여 회색 벽돌과 다량의 청회색 도자기 조각들을 발견하였다. 태양 고성의 서남쪽 2㎞ 떨어진 곳에 돌널무덤들이 있는데 연변 박물관에서 그 중 1기를 조사하였다. 무덤 모양이 화룡현(和龍縣)북대 고분과 비슷하다.
태양 고성은 장방형을 띠고 있는데, 북쪽 성벽의 서쪽 끝이 조금 돌출되었으며 방향은 175°이다. 북쪽 성벽의 길이는 105m, 남쪽 성벽의 길이는 73m, 서쪽 성벽의 길이는 110m, 북쪽 성벽의 길이는 70m, 둘레는 361m이다. 성벽은 모두 흙과 돌로 혼합하여 쌓았고, 성 안에 동서 주향의 성벽이 있는데, 성벽이 고성을 남북 두 구역으로 나누고 있다. 성 안은 이미 논밭으로 개발되고 성벽은 파괴되어 그 모양을 찾아 볼 수 없으며, 성벽 위에는 작은 돌들이 많이 흩어져 있었다. 동, 남, 북 삼면에서는 입구를 찾아볼 수 없는데 오로지 서쪽 성벽의 두 곳에서 성벽을 허물고 출입구를 만든 흔적을 볼 수 있다. 그 너비는 15m이며, 한 문은 서쪽 성벽의 북쪽에 위치하고 다른 한 문은 서쪽 성벽의 남쪽에 위치한다. 이 두 문을 이용하여 성의 북쪽과 남쪽으로 통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1년 현재, 태양 고성은 이미 파괴되어 논밭으로 변해 있지만 그 흔적을 어렴풋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