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仲坪 古城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고성 |
|---|---|
| 양식 | 평지성 |
| 크기 | 동서 길이 약 500m, 남북 너비 약 300m, 둘레 약 1,600m |
| 소유자 | 국유 |
| 관리자 | 용정시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0년대 |
| 현 소재지 | 용정시 덕신향 안방촌 중평둔 |
| 원소재지 | 용정시 덕신향 안방촌 중평둔 |
| 출토 유물 소장처 | 연길시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덕신향(德新鄕) 안방촌(安邦村) 중평둔(仲坪屯)에 있는 고구려, 발해 시대의 성터.
중평 고성은 용정시 덕신향 안방촌 중평둔 동쪽의 경사가 완만한 비탈 밭에 자리 잡고 있다.
중평 고성은 1980년대에 연변 박물관에서 조사하였다. 조사 당시 성벽은 흙과 돌로 쌓았는데 대부분 파괴되어 평평하게 되었고, 성벽 기초가 부분적으로 남아 있었다고 한다. 성은 이미 밭으로 경작되고 있었으며, 구조물 자리를 보고하지 않았다. 출토 유물로는 고구려 시대의 무늬 있는 암키와가 있다. 암키와의 무늬 종류는 성자산 산성에서 나온 것과 같다. 그 외 발해 시대의 연꽃무늬 막새기와와 공작새 무늬 암키와 등이 출토되었다.
중평 고성은 장방형을 띠며, 동서 길이가 약 500m, 남북 너비가 약 300m, 둘레가 약 1,600m이다. 중평 고성에서 서남쪽으로 약 1㎞ 떨어진 곳에 발해 시대의 절터가 있고, 서쪽 약 2㎞ 떨어진 곳에는 발해 시대의 고분군이 있다. 이것은 중평 고성이 발해 시대의 중요한 역할을 했던 성이었음을 말해준다. 성의 모양, 구조, 출토 유물 등을 볼 때, 중평 고성은 고구려 시대에 건설되어 발해 시대에도 계속 사용된 성임을 알 수 있다.
2011년 현재, 중평 고성은 마을이 들어서고 경작지로 개간하면서 많이 파괴되었지만 그 흔적을 알아볼 수 있다.
중평 고성은 고구려 시대에 축조된 이후 발해 시대에도 사용한 고성으로서 당시의 성곽 축조 연구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