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방아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농기구
재질 나무
정의

길림성 지역 한인들이 발로 밟아 곡식을 찧거나 가루를 내는 방아.

개설

발방아는 방앗공이, 방아 대가리, 방아허리, 방아축, 살개 받침 기둥, 방앗다리로 구성되어 있다. 더불어 방앗다리를 발로 밟아야 하기에 몸을 의지하는데 사용하는 받침대와 디딤돌이 함께 구성된다. 방앗공이가 내려와 닿는 곳에는 가운데 부분을 파낸 돌확이 놓인다.

바닥에는 두 개의 나무 말뚝을 박아 놓았는데 이 말뚝에 방아채를 고정한다. 방아채의 한쪽은 발로 밟게 되는 디디개 부분이고 다른 한쪽에는 공이를 설치한다. 낟알을 찧을 경우 확 안에 낟알을 붓고 방아채의 디디개를 디디면 방앗공이가 들어 올려졌다가 발을 디디개에서 떼면 확 안의 낟알을 공이가 내려치게 되는 원리이다.

발방아에는 한 사람이 찧는 외방아와 두 사람이 찧는 쌍방아가 있다. 외방아는 디디개가 하나이며 쌍방아는 방아채 끝이 둘로 갈라져 디디개가 둘이다.

연원 및 변천

고국원왕릉 벽화에 그려진 발방아의 모습은 발방아의 연원이 매우 오래되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형태

연변 박물관에 소장된 발방아는 1985년에 연길시에서 수집한 것이다. 이 발방아는 돌로 만든 방아확과 나무로 만든 방아채 두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방아확은 화분통모양이고 입구가 넓으며 밑굽이 작다. 방아채는 인(人)자 모양으로 갈라진 굵은 나무로 제작되었다. 방아채의 한쪽 끝은 넓적하게 깎아 디디개를 만들었고 다른 한쪽은 사각의 기둥 모양인데 공이가 박혀 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방아질은 보통 여성의 일이었다. 농번기에 많은 여성들은 낮에 밭일을 하고 밤이면 낟알을 찧으며 힘겨운 나날을 보내야 했다.

참고문헌
  • 『연변문화유물략편』(연변인민출판사, 1989)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