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祖上 단지 모시기 |
|---|---|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 유형 | 의례/제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민간 신앙 |
|---|---|
| 의례시기/일시 | 정월 대보름, 가을 수확기 및 수시 |
| 신당/신체 | 안에 곡식을 넣은 단지 |
| 의례 장소 | 집 안 조상 단지 밑 |
중국 연변 지역의 한인들이 조상을 모셔 숭배하는 가신 신앙의 일종.
조상단지 모시기는 조령 신앙(祖靈信仰)의 한 형태이다. 집안에 조상을 상징하는 기물을 모셔 두고 때에 따라 간단한 제물로 제사를 올리거나 집안에 우환이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비손하고 도움을 청하기도 한다.
조상 단지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는데 한인들 사이에서는 조상 단지 혹은 제석(帝釋) 단지라는 이름으로 표현된다. 제석은 무속(巫俗)을 포함한 민간신앙 전반에 뿌리내린 불교의 신격으로 수미산(須彌山)의 도리천(忉利天)을 관장하고 불자(佛者)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조상 단지를 종가(宗家)에서 집 안에 사당을 짓고 조상의 신위(神位)를 모시는 것과 같은 것으로 보기도 하지만, 조상 단지는 특정 조상을 상징하지 않을 뿐더러 명칭에서 나타나는 성격도 복합적이므로 집안을 보호한다고 여겨지는 포괄적 신격을 표현하는 개념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과거 이주 한인들은 집 안에 조상 단지를 모시고 가정의 평안을 기원했지만 사회적 영향과 주거 형태의 변화 등으로 인해 지금은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곡식을 넣은 작은 단지를 집 안 선반 위에 올려둔다. 경우에 따라 한지 등으로 단지를 싸 두기도 하였다.
조상 단지 안의 곡식은 매년 가을 햇곡식으로 갈아 넣고 들어 있던 묵은 곡식은 밥을 지어 가족들과 나누어 먹었다. 경우에 따라 귀한 음식이 생길 때 조금씩 잘라 단지 안에 넣기도 하고 베를 짜거나 옷감이 생기면 그 한 조각을 단지 안에 넣어두는 경우도 있었다.
새로운 식구가 들어오면 조상 단지를 향해 절을 먼저 올리게 되며, 집 안에 우환이 생기면 조상 단지 아래에 제물을 진설하고 간단한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현재 연변 지역에서 집 안에 조상 단지를 모시는 곳은 찾아보기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