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道袍 |
|---|---|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 유형 | 의복/의복 |
| 지역 |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의복 |
|---|---|
| 재질 | 모시천 |
길림성 지역 한인 남자들이 예복으로 입던 겉옷.
도포는 길이가 길어 발등에 닿고 소매가 길고 넓으며 끝에 테를 달아 만들었다. 도포는 계절에 관계없이 명주, 공단, 비단, 생모시, 모시, 무명, 베 등을 사용하여 홑옷으로 제작하였으며, 색깔은 초록색, 다홍색, 흰색, 미색, 청색 등 여러 가지이다. 초기에 도포는 양반들의 제례복으로 사용되었으나 후에는 남자들의 예복이 되었다.
도포의 기원에 대하여 『성호사설(星湖僿說)』과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서는 도교나 불교에서 나온 것으로, 원래는 승려의 권투(圈套)로 우리나라의 승복인 장삼과 동일하고 명칭으로 보아서도 도복이 분명하다고 하였다. 『남당초고(南塘草稿)』에서는 관복인 직령공복을 일상복으로 할 수 없어 그것을 본떠 약간 변경하여 만들었다고 한다. 도포가 승복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은 이들의 형태가 곧은 깃이기 때문에 생긴 이론인 듯하고, 직령포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타당하다. 즉 고구려의 포가 고려의 백저포가 되었고, 백저포는 명나라 제도의 영향을 받아 조선의 직령포가 되었으며, 직령포는 다시 도포로 변하였다고 할 수 있다.
도포 착용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선조실록(宣祖實錄)』에 이홍망(李弘望)이 초록색 겹도포를 입었다는 것이다. 또 『효종실록(孝宗實錄)』에는 도포를 입는 제도를 임진왜란 이후부터라고 하였으므로 도포는 조선 중기 임진왜란 이후부터 착용된 포라고 할 수 있다. 정조 때에 이르러는 관리들과 일반 선비들의 평상시 겉옷이 된 것 외에, 유생들의 공복(公服)이나 제복(祭服)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순조실록(純祖實錄)』에도 옛날에는 사대부의 편복으로 직령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근세에는 도포를 많이 사용한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순조 이후에는 도포가 직령 대신 일반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말기 1884년(고종 21) 의복제도 개혁에 의해 도포를 폐지하고 두루마기를 입게 되면서 도포는 제례복의 역할만을 하였다. 하지만 중국 한인들 사이에서는 1930년대까지 도포 착용이 남아 있었다고 한다.
남자들이 주로 제례복으로 착용하였다.